산림기사

2007년03월04일 67번

[임도공학]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 따라서 설계속도별로 규정된 종단기울기(순기울기)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① 20km/hr : 인반지형 9%이하, 특수지형 12%이하
  • ② 30km/hr : 인반지형 8%이하, 특수지형 14%이하
  • ③ 40km/hr : 인반지형 9%이하, 특수지형 14%이하
  • ④ 40km/hr : 인반지형 7%이하, 특수지형 10%이하
(정답률: 55%)

문제 해설

산림관리기반시설은 산림자원의 보전과 관리를 위해 설치되는 시설로, 산림자원의 특성상 경사지형이 많기 때문에 설계 시 종단기울기(순기울기)를 고려해야 합니다. 종단기울기란 지면의 경사를 나타내는 지표로, 일정 거리(예를 들어 100m)를 기준으로 상승한 높이를 나타냅니다.

설계속도별로 규정된 종단기울기(순기울기)의 기준은 설계속도가 높을수록 기울기가 낮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설계속도가 높을수록 차량의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기울기가 높으면 차량이 미끄러지거나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40km/hr의 경우 인반지형(일반적인 산 지형)에서는 7% 이하의 종단기울기를, 특수지형(저수지, 댐 등 특수한 지형)에서는 10% 이하의 종단기울기를 규정하게 됩니다. 이는 20km/hr, 30km/hr의 경우보다 기울기가 낮은 이유는 40km/hr의 경우 차량의 안전성을 보다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