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2007년08월05일 기출문제)
1과목 : 조림학
1번
소나무의 개화에서 종자 성숙까지는 얼마나 걸리는가?
2번
밤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과 같은 전분종자의 저장 방법으로서 가장 알맞은 것은?
3번
다음 수목 중 자웅이주가 아닌 것은?
4번
다음 중 가지치기의 효과가 아닌 것은?
5번
회귀년(回歸年)을 고려하여야 할 산림작업법은?
6번
산림 작업의 하나의 체계에 해당하는 숲이 다음과 같은 구조로 나타날 경우 어떻게 해석 할 수 있는가?

7번
묘목의 식재밀도에 관한 설명 중 바른 것은?
8번
다음의 무기원소 중 수목에 반드시 필요한 필수양료로 볼 수 없는 원소는?
9번
조림 직후 조림지 풀베기 작업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10번
다음 중 2-2-1 실생묘의 묘령을 옳게 설명한 것은?
11번
다음 중 인공조림지의 무육작업 순서로 바람직한 것은?
12번
다음 중 임업묘포로서 적지가 아닌 곳은?
13번
다음 중 수분과 수목생장의 관계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4번
덩굴식물 가운데 조림목에 피해를 많이 주어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15번
산림이나 묘포장 토양의 토양산도에 대하여 바르게 기술하고 있는 것은?
16번
천연림보육에 대한 생태적 설명으로 틀린 것은?
17번
다음 중 수목의 조직, 기관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번
채종원의 종자를 확보하기 위한 처리방법으로 맞지 않는 것은?
19번
모수작업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번
혼효림(mixed forest)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2과목 : 산림보호학
21번
전염성 수병의 원인이 아닌 것은?
22번
다음 중 인공적으로 배양할 수 있는 병원균은?
23번
다음 중 표징을 나타낸 것은?
24번
수목 뿌리혹병(crown gall) 세균의 침입장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5번
묘목이 어느 정도 자라서 목화(木化)된 후에 뿌리가 침해되어 부패되는 모잘록병의 피해형은?
26번
병의 발생이 진딧물 및 깍지벌레와 같은 해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은?
27번
겨울포자가 발아해서 전균사 상에 형성된 포자명은?
28번
다음 수목병해 방제법 중 무육작업에 의한 방제의 예로 가장 적합한 것은?
29번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수병의 방제 약제는?
30번
박쥐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1번
다음 중 가해식물의 종류가 가장 많은 산림 해충은?
32번
나무좀, 하늘소, 바구미 등과 같은 천공성 해충을 방제하는데 가장 알맞은 방법은?
33번
다음 중 솔잎혹파리의 기생성 천적이 아닌 것은?
34번
다음 중 수목에 혹(충영)을 형성하는 해충은?
35번
다음 중 내화력이 상대적으로 가장 강한 침엽수종은?
36번
다음 중 좁은 의미의 약해(phytotoxicity)의 정의로 가장 옳은 것은?
37번
곤충의 증식을 억제하는 중요 인자가 아닌 것은?
38번
농약의 독성을 표시하는 단위에서 LD50 이란?
39번
해충의 약제저항성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0번
다음 중 상륜(frost r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과목 : 임업경영학
41번
다음 중 종속적 임업경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42번
산림경리 업무의 후업(後業)에 속하는 것은?
43번
임목의 평균생장량이 최대가 될 때를 벌기령으로 정한것은?
44번
임지기망가(林地期望價)의 계산 인자가 아닌 것은?
45번
산림화재의 손해액평정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46번
단면적계수 K = 4의 프리즘(prism)으로 셈한 본수가 10, 평균수고가 15m, 임분형수 0.5이면 각산정측정법(角算定測定法)으로 산출한 ha당 재적은?
47번
임업 이율을 보통 이율보다 낮게 책정해야 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48번
손익분기점의 분석을 위한 가정이 아닌 것은?
49번
대학 연습림 관리소 건물의 장부원가가 5000만원이고, 폐기할 때의 잔존가치가 1000만원으로 예상되며 그 내용연수가 50년 이라고 할 때 이 건물의 연간 감가상각비를 정액법에 의해 계산하면 얼마가 되는가?
50번
산림문화 ㆍ 휴양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근거하여 자연휴양림으로 지정할 수 있는 산림이 아닌 것은?
51번
임업경영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52번
20년 전의 재적이 200m3이고 현재의 재적이 300m3일 때 재적성장률은 얼마인가?(단, 프레슬러의 공식을 이용한다.)
53번
산림경영의 지도원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4번
다음 임지기망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5번
주업적 임업경영의 발전도모 방법이 아닌 것은?
56번
임지의 경제적 위치의 양부를 나타내는 것은?
57번
자연휴양림이 갖는 신체적, 정신적 주요 효과를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직접효과는?
58번
우리나라에서 국산재 거래에 통용되는 측정 방법은?
59번
이용자 안전관리에 있어서 위험사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보일 수 있는 대처 자세가 아닌 것은?
60번
다음 중 마케팅 믹스의 중요 요소가 아닌 것은?
4과목 : 임도공학
61번
임도 착공 지점의 표고가 100m, 도착 지점의 표고가 500m이고, 임도 종단경사를 6%로 한 임도를 시공하고자 한다. 임도 시공 예정 길이는? (단, 소수점 둘째자리에서 반올림하고, 임도 우회율은 적용하지 않는다.)

62번
임도 설치시 설계속도 40km/h 일 때 특수지형의 종단기울기(순기울기)는 몇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가?
63번
다음 중 지반조사에 이용되는 것이 아닌 것은?
64번
다음 토목공사용 기계 중 굴착 기계가 아닌 것은?
65번
임도의 시공시 흙쌓기공사 중 흙의 압축 또는 수축을 고려 할 때, 흙쌓기의 높이를 9 ~ 12m 로 한다면 더쌓기의 높이는 얼마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
66번
노선측량의 결과 교각이 120°인 교각점에 곡선반지름 30m인 곡선을 설치하고자 한다. 이 교각점에 설치될 곡선의 길이는?
67번
다음 중 안전사고의 직접적인 발생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68번
임도노체 기본구조의 명칭을 아래부터 위로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69번
1초 동안의 유량을 계산하는 다음과 같은 공식에서 m이 의미하는 것은?

70번
임도밀도가 2m/ha인 양방향 집재가 가능한 평지 산림의 평균집재거리는?
71번
시거란 차도 중심선상 1.2m 높이에서 당해 차선의 중심선상에 있는 높이 10cm인 물체의 정점을 볼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 설계속도가 30km/h 일 때 안전시거는 얼마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72번
횡단면 A1, A2, A3의 면적은 각각 5m2, 7m2, 9m2이고, A1~A2의 거리와, A2~A3의 거리는 각각 15m, 10m라 한다. 양단면적 평균법을 쓰면 3단면사이의 총토적은 얼마인가?
73번
임도의 종단물매가 4 %, 횡단물매가 3 %일때의 합성물매는?
74번
다음 중 영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5번
식생이 사면의 안정에 미치는 효과가 아닌 것은?
76번
임도의 3대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7번
산악지역을 레벨측량으로 실시할 때 장애물이 있어 중간점이 많아질 경우 많이 사용되는 야장 기입법은?
78번
A, B, C의 직각삼각형에서 AB는 수평거리. AC는 경사거리, BC는 높이라 할 때 AV는 62m, ∠CAB는 25°라면 BC는 얼마인가?(단, tan 25°= 0.466, tan 50°= 1.192)

79번
방위 N 30°30′W의 방위각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80번
종단측량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값을 얻었다. 측점 1과 측점 4를 연결하는 도로계획선을 설정할 때 이 계획선의 종단기울기는? (단, 지반고의 단위는 m, 중심말뚝 간격은 20m임)

5과목 : 사방공학
81번
다음 중 가장 안정된 계천은?
82번
산지사방 선떼붙이기에서 6급 선떼붙이기의 떼 사용매수는?
83번
평균유속을 V(m/s), 유로 단면적을 A(m2)라고 할 때 유량(Q)은?
84번
콘크리트 혼합에서 골재 이외에 사용하는 혼합제로서 응결촉진 경화를 신속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85번
다음 중 산복 기초공사에 속하는 것은?
86번
찰쌓기로 돌을 쌓을 때 지름 3cm 정도의 물빼기 구멍은 얼마 마다 1개소씩 설치하는가?
87번
계간공작물 중 계류를 횡단하여 축설하는 것으로 공작물의 앞 뒤 다 같이 쌓아 올리며 다른 공작물에 비하여 규모가 제일 큰 것은?
88번
다음 중 일반적인 사방댐의 구조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89번
사방댐의 필수 안정 요건이 아닌 것은?
90번
산사태 발생의 인위적인 발생 인자가 아닌 것은?
91번
비탈다듬기공사에서 상단의 단면적이 20m2, 하단의 단면적이 30m2이고 상하단의 거리가 10m일 때 평균 단면적법으로 토사량을 구하면?
92번
다음 중 돌골막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93번
다음 중 수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94번
빗물에 의한 침식의 발생 순서로 올바른 것은?
95번
중력침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96번
비탈면 힘줄박기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97번
단끊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98번
Q = CIA로 나타내는 최대홍수량의 방법은? (단, Q : 최대홍수량, C : 유출계수, I : 강우강도, A : 유역면적이다.)
99번
계상에서 침식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의 최대유속은?
100번
다음 계천 사방공작물 중 토사생산구역에서의 구곡침식의 방지가 주목적인 공작물은?
연도별
- 2022년04월24일
- 2022년03월05일
- 2021년08월14일
- 2021년05월15일
- 2021년03월07일
- 2020년09월26일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 2009년07월26일
- 2009년05월10일
- 2009년03월01일
- 2008년07월27일
- 2008년05월11일
- 2008년03월02일
- 2007년08월05일
- 2007년05월13일
- 2007년03월04일
- 2006년08월16일
- 2006년05월14일
- 2006년03월05일
- 2005년05월29일
- 2005년03월06일
- 2004년08월08일
- 2004년05월23일
- 2004년03월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