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2010년05월09일 3번

[조림학]
동령림의 밀도 지수는 “C=H/D"와 같이 간단한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C의 의미는 무엇인가? (단, 여기서 H는 수고, D는 흉고직경을 나타낸다.)

  • ① 정밀도
  • ② 세장도
  • ③ 생육영역
  • ④ 수관밀도
(정답률: 66%)

문제 해설

C는 동령림의 밀도 지수를 나타내는데, 이는 수고와 흉고직경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C가 높을수록 동령림의 밀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보기에서 "정밀도"는 동령림의 밀도와는 관련이 없으며, "생육영역"은 동령림의 생장에 관련된 개념이므로 밀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수관밀도"는 동령림의 밀도와 관련이 있지만, C와는 다른 개념이다. 따라서 정답은 "세장도"이다. 세장도는 동령림의 밀도와 관련된 개념으로, 동일한 면적 내에서 나무의 개체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C와 마찬가지로, 세장도가 높을수록 동령림의 밀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