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산림기사 (2011년08월21일 기출문제)

1과목 : 조림학
1번
목부 조직의 횡단면이 그림과 같은 형태를 보이는 수종은?
2번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번
미생물의 활동이 대단히 왕성하고 양료의 이용률이 높으며 부식의 형성이 쉽게 되는 토양의 pH 범위는?
4번
난대 수종으로 일반적으로 온대 중부 이북에서 조림하기 어려운 수종은?
5번
묘포에서 실생묘 양성을 위하여 일반 품질의 소나무 종자를 파종할 때 1m2당 파종량의 범위는?
6번
임목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번
점토가 미사나 모래의 함량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식토의 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8번
꽃의 구조와 열매의 구조 사이의 관계를 연결한 것중 옳지 않은 것은?
9번
임목의 직경분포가 다음 그림과 같이 정규분포를 나타내는 것은?
10번
다음 중 삽목발근이 가장 잘되는 수종은?
11번
수목의 체내 이동이 어려워 생장점이나 어린 잎 등 세포분열이 일어나는 곳에서 결핍증상이 잘 나타나는 무기양료 만으로 나열되어 있는 것은?
12번
밤나무 접목묘를 묘간거리 4m, 열간거리 5m로 식재하고자 한다. 1ha에 소요될 묘목의 본수는? (단, 수량 할증을 25% 고려한다.)
13번
침엽수 인공림의 수형목 지정기준 중 옳지 않은 것은?
14번
종자의 활력 검정방법이 아닌 것은?
15번
수목은 토양의 무기양료가 부족하면 여러 가지 생리반응이 나타난다. 부족했을 때 잎의 황화현상(chlorosis)을 일으키는 무기양료가 아닌 것은?
16번
비료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7번
택벌작업의 장점을 옳게 설명한 것은?
18번
작업종과 후계림의 산림형태가 옳게 연결된 것은?
19번
개화 당년에 종자가 결실하는 수종으로 묶어진 것은?
20번
우리나라는 산림 자원의 조성에 어려움이 많다. 다음 중 산림 자원 조성의 문제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2과목 : 산림보호학
21번
천연보호림을 지정⋅해제할 수 있는 사람이 아닌 것은?
22번
대추나무 빗자루병의 병원은?
23번
다음 중 기주교대를 하지 않는 병원균은?
24번
솔수염하늘소의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25번
다음 중 우리나라에서 발생하기 힘든 산불 형태는?
26번
최근 우리나라 소나무와 잣나무에 피해를 주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으로 짝지어진 것은?
27번
다음 중 병환부에 표징이 나타나지 않는 병원체는?
28번
소나무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소나무재선충이 나무와 나무사이를 이동하는 경로는?
29번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포유류 중 천연기념물이 아닌 것은?
30번
임분구성을 통해 풍부한 야생동물군집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31번
해충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32번
수목 뿌리혹병(crown gall) 세균의 침입장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3번
천적에 대한 피해가 가장 적은 살충제는?
34번
송이풀과 까치밥나무류를 중간기주로 하는 수목병은?
35번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방제 방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6번
암컷만으로 단성생식을 하는 대표적인 해충은?
37번
모잘록병에 대한 설명 중 잘못 설명된 것은?
38번
다음 중에서 기주를 교대하며 발생하는 병이 아닌 것은?
39번
다음 중 우리나라에 분포하지 않는 겨우살이 종류는?
40번
씹는 입들을 가진 해충류의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살충제는?
3과목 : 임업경영학
41번
재적 0.6m3 인 통나무 2본의 가격보다 재적 1m3인 통나무 한 본의 가격이 훨씬 높다. 그 이유를 가장 잘 나타낸 것은?
42번
미국의 목재재적 단위인 보드푸트(b.f)란?
43번
여가의 특성이 아닌 것은?
44번
휴양을 보는 관점의 설명 중 마슬로(Maslow)의 인간 동기와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45번
재적수확 최대의 벌기령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46번
관리회계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실제로 발생한 원가를 집계하는 일인데 일반적으로 여러 경영 목적을 위하여 실제원가를 결정하는 과정을 무엇이라 하는가?
47번
소나무림 40년생의 임목 재적 100m3를 매각하려고 한다. 소나무 임목 이용율은 70%로, 1m3당 평균원목시장가격은 60000원, 조재비는 10000원, 집재⋅운재비가 20000원이고 이율이 4%, 자본회수 기간이 4개월일 때 소나무림의 임목가는 얼마인가?
48번
산림가격형성에 미치는 요인을 개별적요인과 지역적요인으로 구분한다면, 지역적요인(외적요인)에 포함 할 수 있는 것은?
49번
임업경영비를 바르게 표현한 것은?
50번
말구직경 24cm, 원구직경 34cm, 재장이 4m 인 통나무의 재적을 스말리안(Smalian)식에 의하여 구하면 얼마인가?
51번
대학 학술림 관리소 건물의 장부원가가 5000만원이고, 폐기할 때의 잔존가치가 1000만원으로 예상되며 그 내용연수가 50년이라고 할 때 이 건물의 연간 감가상각비를 정액법에 의해 계산하면 얼마인가?
52번
임상조사에서 활엽수림이 되는 것은?
53번
휴양계획을 하는 과정에 있어서는 이용자 및 자원에 대한 양적 척도가 아닌 것은?
54번
지속 가능한 산림의 4가지 견해 중에서 "자연이 무엇을 하든지 간에 인간이 무엇인가를 하는 것 보다 낫다.“라고 하는 자연주의적 가치체계를 채택하는 견해는?
55번
휴양림 방문자의 이용밀도를 조절하고 이들의 안전과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다음의 관리수단 중에서 직접기법에 해당하는 것은?
56번
산림분야에서는 FGIS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산림관련 각종 전산 주제도가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주제도는 자료구축분야, 자료관리분야 그리고 자료분석분야로 나뉘어 활용되고 있는데 다음 중 자료분석분야에 해당 하는 주제도가 아닌 것은?
57번
임목생산에 들어간 경비의 원리합계인 육림비를 적게 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58번
다음 휴양지 수용능력의 종류 중 시설 수용력을 설명한 것으로 성격이 다른 것은?
59번
어떤 임목의 흉고단면적이 0.33m3, 수고가 20m 일 때 형수법에 의해 이 임목의 재적을 구하면? (단, 형수는 0.5이다.)
60번
산림경영계획에서 1-0-1-3으로 표시된 산림구획이 의미하는 것은?
4과목 : 임도공학
61번
절토면의 길이가 길어서 침식이나 붕괴의 위험성이 있는 곳에 시설하는 배수구는?
62번
축척 1/600 도면 1매의 면적이 10000m2이다. 만약 그 도면의 축척을 1/1000로 했다면 이 도면 1매의 면적은 얼마인가?
63번
수준측량에 있어서 종·횡단수준측량과 같이 중간점이 많은 경우에 편리한 야장기입법은?
64번
항공사진측량이 다른 측량에 비교한 장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65번
임도의 평면 선형설치에 있어서 사용하지 않는 곡선은?
66번
다음 중 산림토목 공사용 기계에서 암석 굴착에 적합한 기계는?
67번
일반적으로 소형 야더집재기에 대한 성능제원으로 틀린 것은?
68번
일반적으로 흙깎기 비탈의 표준비탈면물매가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옳게 배열된 것은?
69번
임도에 있어서 대피소(待避所)의 주된 설치 목적은?
70번
임도망 계획을 위한 수요조사 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1번
산림관리기반시설의 설계 및 시설기준에 따른 설계속도 20km/시간 임도의 최소곡선 반지름은 얼마인가? ( 단, 일반지형에 한한다.)
72번
레벨을 이용한 고저측량 결과의 계산 시, 기고식야장법에 의한 지반고를 구하는 방법은?
73번
임도 측량방법에서 영선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4번
측점간격 20m로 중심말뚝을 설치하되 지형변화가 심한 지점에는 보조말뚝을 설치하는 것을 무슨 측량이라고 하는가?
75번
다음 중 실제의 토적보다 약간 많은 값이 나오지만 일반적으로 도로와 철도의 토적계산에 널리 이용하는 것은?
76번
어느 사유림 소유자의 산지에 적정임도밀도가 80m/ha 계획되었다면 이 임지의 적정지선임도간격은 얼마인가?(단, 임도우회율은 고려하지 않는다.)
77번
임도 노면의 땅고르기를 위해 사용하기 좋은 기계는?
78번
보통 콘크리트의 단위 무게는 대체적으로 얼마인가?
79번
다음 중 임도의 횡단면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80번
축척 1/25000 의 지형도상에서 종단물매 5%의 임도노선을 선정하려고 한다. 두 지점간의 수평거리는 250m 이다. 이 때 두 지점의 표고차는?
5과목 : 사방공학
81번
폭 10m, 높이 5m 인 직사각형 단면의 야계수로에 수심 2m, 평균유속 3m/sec 로 유출이 일어나고 있다. 이 때의 유량은?
82번
암석산지나 노출된 암벽의 녹화용 방법으로 사용되는 새집공법( 箱工)에 사용하기에 가장 부적합 수종은?
83번
메쌓기 사방댐의 경제적 높이 한계로 가장 적합한 것은?
84번
붕괴위험비탈에 직접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치기를 하여 비탈안정을 위한 틀을 만드는 공법은?
85번
사방(砂防)댐의 설치 주목적이 아닌 것은?
86번
하베스터의 단위작업과 거리가 먼 것은?
87번
임목수확장비 중 펠러번처에 의한 작업이 불가능한 것은?
88번
해안의 모래언덕 발달순서로 옳은 것은?
89번
선떼붙이기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0번
산비탈 사방공사에서 산비탈 기초공종에 속하지 않는 것은?
91번
산지비탈면에서 수평으로 연속적인 계단을 만들고 떼를 세워 붙이는 선떼붙이기 시공하려고 한다. 선떼붙이기 시공표준에서 떼사용 매수(매수/m)가 옳게 짝지어진 것은?(단, 1m를 기준으로 떼 크기는 40cm× 25cm 이다.)
92번
요사방지(생태복원대상지)를 유형별로 분류할 때 황폐지의 초기 단계는?
93번
비탈면 녹화공법 중에서 초류식재 녹화공법에 속하는 것은?
94번
황폐지 및 훼손지의 복구용 수종으로 짝지은 것은?
95번
체인톱날의 연마에서 톱이 심하게 튀거나 부하가 걸리며, 안내판 작용이 어려운 경우는?
96번
비교적 긴 구간에 종침식이 발생하는 개소에 침식 방지계획을 수립하고자 할 때 잘못된 것은?
97번
바다쪽에서 불어오는 해풍에 의해 날리는 모래를 억류하고 퇴적시키기 위한 인공사구조성 공법은?
98번
사방댐에 관한 설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99번
폐광지, 채석장 등의 훼손지를 처리하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00번
비탈붕괴· 산사태의 소인에서 지질적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