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2012년03월04일 기출문제)
1과목 : 조림학
1번
우리나라 조림 수종 중 도입 수종은?
2번
산림기후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번
다음 수종 중에서 토양수분 요구도가 가장 높은 수종은?
4번
산림 갱신법의 종류를 분류하는데 그 기준이 되지 못하는 것은?
5번
조림용 묘목의 규격의 최소기준으로 바른 것은?
6번
총광합성량을 A, 호흡량을 R, 물질 순생산량을 N이라고 할 때, 이들 간의 관계식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7번
간벌의 목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번
가지치기의 효과가 아닌 것은?
9번
식재밀도에 대한 설명 중 밀식의 장점이 아닌 것은?
10번
일반적으로 수목의 기관 중 인산의 함량이 가장 많은 기관은?
11번
종자의 생리적 휴면을 유지시키는 호르몬은?
12번
종자의 품질을 나타내는 기준인 순량율이 50%, 실중이 60g, 발아율이 90%라고 할 때, 종자의 효율은?
13번
개화한 다음해 가을에 종자가 성숙하는 수종은?
14번
버드나무류나 사시나무류의 경우 종자채취 후 바로 파종(채파)하는 이유는?
15번
파종상에 짚덮기를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6번
산불 시 가장 잃기 쉬운 양분으로 산불 난 지역의 조림 시 부족하기 쉬운 토양 양분은?
17번
윤벌기가 완료되기 전에 갱신이 완료되는 전갱작업에 해당되는 것은?
18번
발아할 때 자엽이 땅속에 남아 있는 자엽지하위발아 수종으로 짝지어진 것은?
19번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에 대하여 바르게 설명하고 있는 것은?
20번
토양의 무기양료에 대한 요구도가 낮은 수종으로 짝지어진 것은?
2과목 : 산림보호학
21번
다음 중 Septoria류에 의한 병을 잘못 설명한 것은?
22번
밤나무 뿌리혹병(根頭腫病)균의 주요 침입부위는?
23번
수병의 예방방법 중 묘포지에서 2~3년간 윤작을 함으로써 피해를 크게 경감시킬 수 있는 병은?
24번
약제를 식물체의 뿌리, 줄기, 잎 등에서 흡수시켜 식물체 내의 전체에 약제가 분포되게 하여 해충이 섭식하였을 경우에 약효가 발휘되는 살충제의 종류는?
25번
하늘소 중에서 똥을 밖으로 배출하지 않아 발견하기 어려운 해충은?
26번
미국흰불나방은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이다. 우리나라에 최초로 피해를 나타낸 시기는?
27번
성비(sex ratio) 가 0.65인 곤충이 있다고 할 때 암·수 전체 개체수가 200마리라면 암컷은 몇 마리인가?
28번
다음 중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한 질병이 아닌 것은?
29번
수목의 그을음병에 대한 설명 중 바르지 않은 것은?
30번
산립해충의 화학적 방제시 살충제의 과다한 사용에 대한 문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31번
조수(鳥獸)에 의한 산림 피해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32번
다음 중 오동나무 빗자루병에 매개충인 담배장님노린재의 구제 시기는?
33번
다음 중 수동(樹洞)형 영소조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34번
다음 산불의 발생원인 가운데 가장 발생비율이 높은 것은?
35번
모잘록병(dampoing-off)의 발병 환경으로 옳은 것은?
36번
측백나무 검은돌기잎마름병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것은?
37번
수병의 발생에 관여하는 3대 요소가 아닌 것은?
38번
다음 중 2차 해충에 속하는 것은?
39번
여름포자세대(夏胞子世代)를 가지고 있지 않는 병원균은?
40번
밤나무흑벌의 월동형태는?
3과목 : 임업경영학
41번
임분밀도의 척도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42번
투자효율의 결정방법 중 화폐의 시간적 가치를 고려하여 투자효율을 분석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43번
산림을 국유림, 공유림, 사유림의 3가지로 구분할 때 공유림의 경영목적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44번
산림이 가지고 있는 기능 중에서 제 1차 기능 혹은 직접 기능이 아닌 것은?
45번
다음 임업경영의 분석에 대한 공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번
다음 중에서 야영지의 자원조건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곳은?
47번
산림조사 방법 중에서 전수조사 방법에 포함되는 것은?
48번
복합적 임업경영의 형태 중에서 임목이 울폐되기전 일정 기간 동안 산림 내에 가축을 방목하여 임지의 야생초를 이용하게 하는 방법은?
49번
육림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50번
휴양림의 화장실 최소 이용객수가 800명, 최대 이용객수가 8000명, 이용률이 1/80, 그리고 단위면적이 3.3m2일 경우에 화장실의 소요 공간규모는?
51번
개별원가계산 방법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52번
다음 휴양자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53번
휴양림 내 놀이시설이 그 사용자에게 주는 가치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4번
수간석해(樹幹析解)를 통해 총 재적을 구할 때 합산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55번
휴양림을 조성하는데 고려할 특성 중 가장 중요성이 낮은 것은?
56번
임지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57번
다음 중 활동중심형 휴양 형태는?
58번
다음 지역 중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장, 지방산림청장, 국립자연휴양림관리소장이 『산림문화 ㆍ 휴양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선발한 등산안내인을 활동하게 할 수 있는 지역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곳은?
59번
10년생의 산림면적이 200ha, 20년생의 산림면적이 350ha, 40년생의 산림면적이 450ha일 때 이 산림의 면적령을 구하면?
60번
통나무의 수피를 제외한 말구의 최소직경이 16cm 이고, 최소직경에 대한 직각의 직경이 24cm일 때 우리나라 검척법에 의한 이 통나무의 말구직경은?
4과목 : 임도공학
61번
성토사면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하여 사면 끝에 설치하는 공작물이 아닌 것은?
62번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다각측량의 각 관측방법으로 임도곡선 설정 시 현지에서 측점을 설치하는 곡선설정 방법은?
63번
임도의 설계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64번
다음 중 바퀴식 트랙터와 비교한 크롤러식 트랙터에 대해 바르게 설명한 것은?
65번
우리나라의 자침편차 중 옳은 것은?
66번
1/50000 지형도에서 양각기 계획법으로 임도망을 편성하고자 한다. 종단물매를 5%로 계획할 때 도상거리는 얼마인가? (단, 등고선 간격은 20m 이다.)
67번
다음 중 ( )안에 해당되는 것은?

68번
다음 중 사면붕괴 및 사면침식 등 비탈면의 유지 관리를 위한 표면유수 유입방지용 배수시설은?
69번
Matthews 이론에 따라 적정임도밀도를 산출할 때 고려하는 요인이 아닌 것은?
70번
임도시공시 굴착된 흙을 운반할 때 도로너비 2.5m 정도 이상에서 운반거리 60m를 초과하는 경우에 적합한 장비는?
71번
다음 중 수준측량시 발생하는 정오차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72번
다음 중 전압(轉壓)기계가 아닌 것은?
73번
우리나라 임도관련 규정에 제시된 절토사면의 기울기 설계기준은?
74번
임도시공용 기계의 운전관리 및 안전대책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75번
경사지 임도의 횡단선형을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76번
모르타르뿜어붙이기공법에서 건조 ㆍ 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77번
임도 설계시 주행속도 40km/시간, 오름물매 4%, 내림물매 2% 일 때 종곡선의 길이는?
78번
임도 안전점검을 위해 비탈면상 두 점 A, B를 실측하니 50m 이었고, 두 점의 수평거리를 계산하니 40m 이었다. B점의 높이는 얼마인가? (단, A점의 표고는 0m 이다.)
79번
임도의 횡단선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0번
임도의 종단물매와 관련성이 가장 적은 요인은 어느 것인가?
5과목 : 사방공학
81번
해풍에 의한 비사를 억류하고 퇴적시켜서 모래언덕을 조성할 목적으로 시공하는 것은?
82번
보수력이 높은 토양은 임도노면의 토양으로 적합하지 않다. 아래 토양 중 일정 기압의 힘으로 보유되는 수분함량이 가장 높은 토양은?
83번
뒷길이가 35cm인 견치석을 쌓는다면 m2당 몇 개가 필요한가? (단, 치수가 25cm(25×25)이다.)
84번
비탈면 안정토목공법에 해당하는 것은?
85번
다음 중 휴양활동으로 인한 임지피해에 대한 설명으로서 잘못된 것은?
86번
다음 중 사방댐을 직선부에 계획할 때 올바른 방향은?
87번
사방댐의 주요 기능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8번
평균유속(V)와 임계유속(Vg)가 같을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9번
다음 중 조도계수가 가장 큰 수로는?
90번
다음 중 산사태의 발생요인 중 내적 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91번
재래 초본류(향토식물)와 외래 초본류를 혼파할 때 다음 중 재래 초본류에 해당하는 것은?
92번
유역면적 1ha, 최대 시우량 100mm/hr 일 때 시우량법에 의한 계획지점에서의 최대홍수유량은? (단, 유거계수(K)는 0.7로 한다.)
93번
비탈녹화공법에 사용되는 외래초종의 특성으로 틀린 것은?
94번
설상사구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95번
절토사면의 토질별 적용공법으로 가장 적합하게 연결된 것은?
96번
강우시의 침투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7번
해안사방에서 사초(砂草)심기공법의 사초 식재방법이 아닌 것은?
98번
임목수확작업시스템 중 전목재생산방식(full-tree harvesting method)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99번
다음 수로 중 기울기가 완만하고 수량이 적으며 토사유속이 적은 곳에 설치하는 수로는?
100번
다음 중 정사울세우기를 가장 잘 설명한 것은?
연도별
- 2022년04월24일
- 2022년03월05일
- 2021년08월14일
- 2021년05월15일
- 2021년03월07일
- 2020년09월26일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 2009년07월26일
- 2009년05월10일
- 2009년03월01일
- 2008년07월27일
- 2008년05월11일
- 2008년03월02일
- 2007년08월05일
- 2007년05월13일
- 2007년03월04일
- 2006년08월16일
- 2006년05월14일
- 2006년03월05일
- 2005년05월29일
- 2005년03월06일
- 2004년08월08일
- 2004년05월23일
- 2004년03월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