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2018년03월04일 기출문제)
1과목 : 조림학
1번
삽목상의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번
토양산성화로 인한 수목 생육 장애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3번
어린나무 가꾸기의 대상 임목은?
4번
개화한 당년에 종자가 성숙하는 수종과 개화한 다음해에 종자가 성숙하는 수종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5번
묘포의 경운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번
수목의 체내에서 양료의 이동성이 떨어지는 무기원소는?
7번
우량 묘목의 조건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8번
속씨식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번
동령적 혼효림 조성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번
포플러류 중 양버들에 해당하는 것은?
11번
간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2번
종자의 휴면타파 방법이 아닌 것은?
13번
수분의 주요 이동통로로 이용되는 조직은?
14번
우리나라 온대 중부지방을 대표하는 특징 수종은?
15번
자연생태계의 물순환 과정에서 산림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번
열대우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7번
단벌기 작업에서 맹아에 의한 갱신 방법은?
18번
종자의 결실주기가 가장 짧은 수종은?
19번
활엽수의 가지치기 절단 위치로 가장 적합한 곳은?

20번
산벌작업에 적용이 가장 적합한 수종은?
2과목 : 산림보호학
21번
솔잎혹파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2번
오염원으로부터 직접 배출되는 1차 대기오염 물질이 아닌 것은?
23번
다음의 하늘소 유충 중 톱밥 또는 배설물을 나무 밖으로 배출하지 않아 발견하기 어려운 것은?
24번
불리한 환경에 따른 곤충의 활동정지와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5번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방제 효과가 가장 미비한 것은?
26번
남서방향에서 고립되어 생육하고 있는 임목, 코르크층이 발달되지 않은 수종에서 많이 나타나는 기상 피해는?
27번
수목병 발생과 환경조건과의 관계에서 수목이 가장 심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경우는?
28번
코흐(Koch)의 원칙을 충족시키지 않는 조건은?
29번
약제를 식물체의 뿌리, 줄기, 잎 등에서 흡수시켜 식물체 전체에 약제가 분포되게 하고, 해충이 섭식하였을 경우에 약효가 발휘되는 살충제의 종류는?
30번
모잘록병의 방제법으로 효과가 가장 미비한 것은?
31번
세균으로 인한 수목병은?
32번
토양 내에서 월동하는 병원체는?
33번
오리나무잎벌레의 월동 형태와 장소는?
34번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5번
수목병의 임업적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6번
수목에 기생하는 식물로 낙엽성인 것은?
37번
호두나무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8번
수목의 잎을 가해하는 해충이 아닌 것은?
39번
오리나무 갈색무늬병의 방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0번
미국흰불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 임업경영학
41번
임지기망가를 적용하는데 있어 이론과 현실이 달라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번
어느 임업 법인체의 임목벌채권 취득원가가 8000만원이고, 잔존가치는 3000만원이라고 한다. 총벌채 예정량은 10만m3이고 당기 벌채량은 4천m3이라고 하면 당기 총 감가상각비는?
43번
수확조정 방법 중 조사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4번
임업이율 중 일반 물가등귀율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45번
윤척 사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번
경영계획구 내에서 수종, 작업종, 벌기령이 유사하여 공통적으로 시업을 조절할 수 있는 임분의 집단은?
47번
전체 산림 면적을 윤벌기 연수와 같은 수의 벌구로 나누어 한 윤벌기를 거치는 동안 매년 한 벌구씩 벌채 수확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방법은?
48번
자연휴양림의 수림 공간 형성 특성 중 레크레이션 활동 공간으로써 자유도가 가장 높은 구역은?
49번
법정림의 법정상태 요건이 아닌 것은?(문제 복원 오류로 3, 4번 보기가 같습니다.정확한 내용을 아시는 분께서는 오류 신고를 통하여 내용 작성 부탁 드립니다. 정답은 2번입니다.)
50번
임분이 성장하여 성숙기에 도달하는 산림경영계획상의 연수는?
51번
산림에서 간벌할 임목을 대모로 굴취하여 도시의 환경 미화목으로 사용함으로써 중간수입을 얻는 임업경영의 형태는?
52번
잣나무 30년생의 ha당 재적이 120m3였던 것이 35년생 때 160m3가 되었다. 이 때 (160-120)÷5=8m3의 계산식으로 구하는 성장량은?
53번
임가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4번
임지기망가의 기본 공식으로 옳은 것은? (단, R=수익에 대한 전가, C=비용에 대한 전가, n=벌기연수, p=이율)
55번
임업소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6번
형수(form facto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7번
잣나무의 흉고직경이 36cm, 수고가 25m일 때 덴진(Denzin)식에 의한 재적(m3)은?
58번
해마다 연말에 간벌수입으로 100만원씩 수입이 있는 임분을 가지고 있을 때, 이 임분의 자본가는? (단, 이율은 4%)
59번
손익분기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0번
산림휴양림의 공간이용지역 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과목 : 임도공학
61번
아스팔트 포장과 비교하였을 때 시멘트 콘크리트 포장의 장점으로 옳은 것은?
62번
임도의 종단면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3번
도면에서 기울기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64번
측점 A에서 다각측량을 시작하여 다시 측점 A에 폐합시켰다. 위거의 오차가 10cm, 경거의 오차가 15cm이었다. 이때의 폐합비는 얼마인가? (단, 측선의 전체거리는 1800m)
65번
임도 실시설계를 위한 현지측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6번
임도 설계 시 구분되는 암(岩)의 종류로 옳지 않은 것은?
67번
쇄석의 틈 사이에 석분을 물로 침투시켜 롤러로 다져진 도로는?
68번
임도의 횡단기울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9번
트래버스측량에서 측선 AB의 위거(LAB)를 계산하기 위한 식은? (단, NS는 자오선, EW는 위선, 9는 방위각)

70번
임도에서 대피소 설치의 주요 목적은?
71번
산악지대의 임도노선 선정 형태로 옳지 않은 것은?
72번
임도 설계 시 각 촉점의 단면마다 절토고, 성토고 및 지장목 제거, 측구터파기 단면적등의 물량을 기입하는 설계도는?
73번
임도의 중심선에 따라 20m 간격으로 종단 측량을 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과표를 얻었다. 측점1의 계획고를 40.93m로 하고 2% 상향 기울기로 설치하면 측점4의 절토고는?

74번
임도에 설치하는 교량 및 암거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 )안에 알맞은 것은?

75번
벌목 작업 전에 준비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76번
임도망 계획 시 고려할 사항이 아닌 것은?
77번
교각법에 의한 임도곡선 설치 시 교각은 60°, 곡선반지름이 20m일 때 안전을 위한 적정 곡선길이는?
78번
임도에 설치하는 배수구의 통수단면 계산에 필요한 확률 강우량 빈도의 기준 년 수는?
79번
모르타르뿜어붙이기공법에서 건조ㆍ수축으로 인한 균열을 방지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80번
임도 노면의 땅고르기 작업을 위해 가장 적합한 기계는?
5과목 : 사방공학
81번
새집공법에 적용하는 수종으로 가장 부적합한 것은?
82번
해안사방 조림용 수종의 구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83번
빗물에 의한 침식의 발달과정에서 가장 초기상태의 침식은?
84번
침식이 심하고 경사가 급하며 상수(常水)가 있는 산비탈에 적합한 수로는?
85번
황폐지를 진행상태 및 정도에 따라 구분할 때 초기 황폐지 단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6번
앵커박기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7번
산비탈기초 사방공사가 아닌 것은?
88번
녹화용 외래초본식물이 아닌 것은?
89번
다음 그림은 인공개수로의 단면도이다. P에 해당하는 용어는?

90번
황폐 계류 유역을 구분하는데 포함되지 않는 것은?
91번
사방댐을 설치하는 주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92번
사방사업법에 의한 사방사업의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93번
선떼붙이기에서 발디딜을 설치하는 주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94번
산사태 및 산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5번
조도계수는 0.05, 통수단면적이 3m3, 윤변이 1.5m, 수로 기울기가 2%일 때 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에 의한 유량은?
96번
선떼붙이기 6급으로 1m를 시공하는데 필요한 떼 사용 매수는? (단, 떼는 40cm×25cm, 흙 두께는 5cm)
97번
최대홍수량을 산정하는 합리식으로 옳은 것은?
98번
시멘트가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수화작용을 일으키고, 그 결과 생긴 수산화칼슘이 이산화탄소와 결합하여 탄산칼슘을 만드는 과정은?
99번
돌쌓기벽 그림에서 A의 명칭은?

100번
중력식 사방댐의 안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연도별
- 2022년04월24일
- 2022년03월05일
- 2021년08월14일
- 2021년05월15일
- 2021년03월07일
- 2020년09월26일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8월04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8월19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8월26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08월2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8월16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8월17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8월1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8월26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08월21일
- 2011년06월12일
- 2011년03월20일
- 2010년07월25일
- 2010년05월09일
- 2010년03월07일
- 2009년07월26일
- 2009년05월10일
- 2009년03월01일
- 2008년07월27일
- 2008년05월11일
- 2008년03월02일
- 2007년08월05일
- 2007년05월13일
- 2007년03월04일
- 2006년08월16일
- 2006년05월14일
- 2006년03월05일
- 2005년05월29일
- 2005년03월06일
- 2004년08월08일
- 2004년05월23일
- 2004년03월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