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산림기사 (2019년08월04일 기출문제)

1과목 : 조림학
1번
솎아베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번
우리나라 산림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번
윤벌기가 완료되기 전에 짧은 갱신기간 동안 몇 차례 벌채를 실시하여 임목을 완전히 제거하는 작업은?
4번
온대 남부지역에서 수하식재가 가장 용이한 수종은?
5번
인공림 침엽수의 수형목 지정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6번
가지치기를 시행하는 시기로 가장 적합한 것은?
7번
지베렐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번
꽃의 구조와 종자 및 열매의 구조가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9번
일본에서 도입하여 조림된 수종은?
10번
종자의 크기가 가장 작은 수종은?
11번
수목에서 질소 결핍 증상으로 나타나는 주요 현상은?
12번
조림지의 풀베기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3번
흙 속에서 공기와 물이 차지하고 있는 부분은?
14번
지존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5번
파종상을 만들고 실시하는 경운 작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번
수목의 호흡 작용이 일어나는 세포 내 기관은?
17번
묘간 거리가 가로 1m, 세로 4m의 장방형 식재시 1ha에 식재되는 묘목 본수는?
18번
임목의 직경분포가 다음과 같이 나타나는 임형은?
19번
모수작업에서 모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0번
택벌작업의 장점이 아닌 것은?
2과목 : 산림보호학
21번
씸는 입틀을 가진 해충 방제에 주로 사용되는 살충제 종류는?
22번
저온으로 인한 수목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3번
곤충의 날개가 퇴화된 기관으로 주로 파리류에서 볼 수 있는 것은?
24번
나무주사를 이용한 대추나무 빗자루병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25번
소나무좀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6번
복숭아명나방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번
산불이 발생한 지역에서 많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병은?
28번
곤충류 중 가장 많은 종수를 가진 것은?
29번
밤나무 줄기마름병 방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번
아까시잎혹파리가 월동하는 형태는?
31번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균을 매개하는 곤충은?
32번
솔잎혹파리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번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은?
34번
뿌리혹병 방제 방법으로 옳은 것은?
35번
기생성 식물이 아닌 것은?
36번
잣나무 털녹병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번
박쥐나방 방제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39번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수목병이 아닌 것은?
40번
송이풀과 까치밥나무류를 중간기주로 하는 수목병은?
3과목 : 임업경영학
41번
자연휴양림 지정을 위한 대상지의 타당성 평가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42번
항속림 사상과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임업경영의 지도원칙은?
43번
복합임업경영의 주요목적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44번
산림투자에 있어서 미래상황의 불확실성을 투자분석에 포함시킨 것은?
45번
생장량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6번
기준벌기령 이상에 해당하는 임지에서 수확을 위한 벌채가 아닌 것은?
47번
임지평가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번
의 식이 나타내는 벌기령은? (단, Au: 주벌수확, C: 조림비, u: 벌기령 ∑D: 간벌수확합계, V: 관리비)
49번
현재 기준연도에서 벌채 예정연도까지의 임목기망가 산출 공식으로 옳은 것은?
50번
현재 축적이 1,000m3이고 생장률이 연 3%일 때 단리법에 의한 9년 후 축적은?
51번
감가삼각비의 계산방법 중 정액법에 의한 것은?
52번
보속작업에 있어서 하나의 작업급에 속하는 모든 임분을 일순 벌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53번
임업경영자산 중 유동자산으로 볼 수 없는 것은?
54번
수고 측정에 적합하지 않는 기구는?
55번
수간석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6번
산림교육활성화를 위하여 산림교육종합계획을 수립ㆍ시행하는 자는?
57번
정적임분생장모델에 해당하는 것은?
58번
임업조수익 중에서 임업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은?
59번
산림경영에서 매년 발생하는 수익이 20만원, 연이율이 5%인 경우에 자본가는?
60번
어떤 밤나무의 말구직경이 14cm이고 재장이 8.5m 일 때 국내산 원목의 재적검량방법에 의한 재적은?
4과목 : 임도공학
61번
임도 노체의 기본구조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62번
평판을 한 측점에 고정하고 많은 측점을 시준하여 방향선을 그리고, 거리는 직접 측량하는 방법은?
63번
임도의 횡단면도 작성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4번
지반 조사에 사용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65번
임도의 평면선형에서 두 측선의 내각이 몇 도 이상되는 장소에 대해서는 곡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는가?
66번
임도에서 횡단기울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7번
수로의 평균유속을 구하는 매닝(Manning)공식에서 수로벽면 재료에 따라 조도계수가 작은 것부터 큰 것의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68번
반출 목재의 길이가 12m이고 임도 유효폭이 3m일 때 최소 곡선 반지름은?
69번
머캐덤도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0번
흙의 동결로 인한 동상을 가장 받기 쉬운 토질은?
71번
산림면적이 1000ha인 임지에 간선임도 1000m, 지선임도 15km가 개설되어 있을 때 임도밀도는?
72번
지형의 표시방법 중 자연적 도법에 해당하는 것은?
73번
임도의 유효너비 기준은?
74번
임도 시공장비의 기계정비 산출 시 기계손료에 포함되지 않는 항목은?
75번
임도 설계 과정에서 예측 단계에서 수행하는 것은?
76번
임도의 적정 종단기울기를 결정하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
77번
다각형의 좌표가 다음과 같을 때 면적은? (단, 측점간 거리 단위는 m)
78번
다음 중 정지 및 전압 전용기계가 아닌 것은?
79번
임도 시공 시 절토면의 침식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서 시설하는 배수구는?
80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임도 노선 배치방법은?
5과목 : 사방공학
81번
계안으로부터 유심을 향해 돌출한 공작물로 유심의 방향을 변경시켜 계안의 침식이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82번
배수로 단면의 윤변이 10m이고 유적이 20m2일 때 경심은?
83번
우량계가 유역에 불균등하게 분포되었을 경우에 가장 적정한 평균 강우량 산정방법은?
84번
투과형 버트리스 사방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5번
선떼붙이기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6번
붕괴형 산사태가 아닌 것은?
87번
중력에 의한 침식이 아닌 것은?
88번
돌쌓기 방법에서 금기돌이 아닌 것은?
89번
조공 시공 시 소단위 수직높이와 너비 기준을 순서대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90번
경암지역 땅깍기비탈면 안정을 위한 공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91번
해안사방의 모래언덕 조성 공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92번
돌을 쌓아 올릴 때 뒷채움에 콘크리트를 사용하고 줄눈에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돌쌓기는?
93번
비탈다듬기나 단끊기 공사로 생긴 토사의 활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공작물은?
94번
우리나라 지질계통별 분포 면적과 구성비가 가장 높은 것은?
95번
골막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6번
중력식 사방댐의 안정조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97번
불투과형 중력식 사방댐의 구축재료에 의한 구분 중 내구성이 낮지만 산사태지 등 응급 복구에 가장 적합한 것은?
98번
수로 경사가 30°, 경심이 0.6m, 유속계수가 0.36일 때 Chezy 평균유속에 의한 유속은?
99번
사방사업 대상지 분류에서 황페지의 초기단계에 속하는 것은?
100번
산지사방 식재용 수목에 요구되는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