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2020년08월22일 48번

[임업경영학]
순토측고기를 사용하여 임목의 수고를 측정할 때 올바른 계산식은?

  • ① (tan a1 + tan a2) ×D
  • ② (tan a1 - tan a2) ×D
  • ③ (cos a1 + cos a2) ×D
  • ④ (cos a1 - cos a2) ×D
(정답률: 63%)

문제 해설

순토측고기는 수평선과 수직선을 이용하여 높이를 측정하는데, 이 때 수직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를 이용합니다.

임목의 수고를 측정할 때는 두 개의 수직선을 이용하여 높이 차이를 측정합니다. 이 때, 순토측고기를 수평선에 대해 회전시켜 두 번의 측정을 하게 되는데, 이 두 번의 측정에서 각각의 수직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를 각각 a1, a2라고 합니다.

이 때, 수직선과 수평선이 이루는 각도 a1, a2와 수평선과 수직선 사이의 거리 D를 이용하여 수고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높이 차이는 tan a1 × D - tan a2 × D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식은 불필요한 계산이 많아서 간단한 식으로 변형할 수 있습니다.

tan a1 × D - tan a2 × D을 정리하면 (tan a1 - tan a2) × D가 됩니다. 이 때, tan a1과 tan a2를 더한 후 D를 곱하면 (tan a1 + tan a2) × D가 됩니다.

따라서, 올바른 계산식은 "(tan a1 + tan a2) ×D"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