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기사(변경)

2010년07월25日 1번

[식품위생학]
식품공전상의 방법으로 대장균군 최확수(MPN)표를 작성하려고 한다. 시료를 10배수씩 3단계 희석한 검체를 조제하여 실험할 때 각 단계의 시험관 수는 ?

  • ① 1개 또는 2개
  • ② 3개 또는 5개
  • ③ 7개 또는 9개
  • ④ 10개 또는 20개
(정답률: 81%)

문제 해설

식품공전상의 방법에 따르면, 대장균군 최확수(MPN)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각 단계별로 양성 시료가 나오는 시험관의 수를 파악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료를 10배수씩 3단계로 희석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원래 시료를 10배수로 희석한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이때, 시료 1mL을 9mL의 적정액으로 희석하면 총 10mL의 시료가 된다. 따라서, 이 시료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할 때는 시험관 10개를 사용하게 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양성이 나온 시험관 중에서 1mL을 9mL의 적정액으로 희석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이때, 첫 번째 단계에서 양성이 나온 시험관의 수가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서 시험관의 수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첫 번째 단계에서 양성이 나온 시험관이 3개라면, 이를 각각 10배수로 희석하여 시험관 3개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면 된다.

세 번째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두 번째 단계에서 양성이 나온 시험관 중에서 1mL을 9mL의 적정액으로 희석하여 실험을 진행한다. 이때도 두 번째 단계에서 양성이 나온 시험관의 수에 따라서 시험관의 수가 결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3개 또는 5개"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시험관 10개를 사용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양성이 나온 시험관의 수에 따라서 3개 또는 5개를 사용하고, 세 번째 단계에서도 두 번째 단계에서 양성이 나온 시험관의 수에 따라서 3개 또는 5개를 사용하게 된다.
이전 문제
다음 문제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