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09년05월10일 10번

[전기자기학]
콘덴서의 내압 및 정전용량이 각각 1000V-2μF, 700V-3μF, 600V-4μF, 300V-8μF이다. 이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 할 때, 양단에 인가되는 전압을 상승시키면 제일 먼저 절연이 파괴되는 콘덴서는?

  • ① 1000V-2μF
  • ② 700V-3μF
  • ③ 600V-4μF
  • ④ 300V-8μF
(정답률: 80%)

문제 해설

콘덴서의 내압은 콘덴서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전압을 의미하며, 정전용량은 콘덴서가 저장할 수 있는 전하의 양을 의미한다.

직렬 연결된 콘덴서의 전압은 각 콘덴서의 내압보다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내압이 가장 낮은 600V-4μF와 300V-8μF 콘덴서는 먼저 절연이 파괴될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내압이 700V-3μF인 콘덴서가 파괴될 것이고, 마지막으로 내압이 가장 높은 1000V-2μF 콘덴서가 파괴될 것이다.

따라서, 제일 먼저 절연이 파괴되는 콘덴서는 600V-4μF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