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15년03월08일 40번

[전력공학]
역률 개선용 콘덴서를 부하와 병렬로 연결하고자 한다. Δ결선 방식과 Y결선 방식을 비교하면 콘덴서의 정전용량[μF]의 크기는 어떠한가?

  • ① Δ결선 방식과 Y결선 방식은 동일하다.
  • ② Y결선 방식이 Δ결선 방식의 1/2이다.
  • ③ Δ결선 방식이 Y결선 방식의 1/3이다.
  • ④ Y결선 방식이 Δ결선 방식의 1/√3이다.
(정답률: 72%)

문제 해설

Δ결선 방식과 Y결선 방식은 부하와 콘덴서의 연결 방식에 따라 결정된다. Δ결선 방식은 부하와 콘덴서가 삼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고, Y결선 방식은 부하와 콘덴서가 Y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때, Y결선 방식에서는 부하와 콘덴서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이 동일하게 분배된다. 따라서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의 총 정전용량과 동일하다.

반면, Δ결선 방식에서는 부하와 콘덴서가 삼각형 모양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압이 부하와 콘덴서 간에 분배된다. 이 때,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부하와 병렬로 연결된 콘덴서의 총 정전용량의 1/3이 된다.

따라서 Δ결선 방식이 Y결선 방식의 1/3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