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19년08월04일 63번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제어시스템에서 출력이 얼마나 목표값을 잘 추종하는지를 알아볼 때, 시험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신호로 다음 식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은?

  • ① 사인함수
  • ② 임펄스함수
  • ③ 램프함수
  • ④ 단위계단함수
(정답률: 65%)

문제 해설

제어시스템에서 출력이 목표값을 잘 추종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시험용 신호로는 일정한 크기의 입력신호를 시스템에 가해주는데, 이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신호가 단위계단함수입니다.

단위계단함수는 입력신호가 0에서 특정값으로 순간적으로 변화하는 함수로,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합니다. 이 함수는 시스템의 출력이 목표값을 얼마나 빠르게 추종하는지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사인함수는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함수로,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임펄스함수는 순간적으로 입력신호가 변화하지만,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측정하기에는 너무 짧은 시간동안 입력신호가 가해지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램프함수는 입력신호가 일정한 속도로 증가하는 함수로, 시스템의 응답속도를 측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