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20년06월06일 44번

[전기기기]
단상 유도전동기의 분상 기동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보조권선은 높은 저항과 낮은 리액턴스를 갖는다.
  • ② 주권선은 비교적 낮은 저항과 높은 리액턴스를 갖는다.
  • ③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려면 보조권선에 병렬로 저항을 삽입한다.
  • ④ 전동기가 기동하여 속도가 어느 정도 상승하면 보조 권선을 전원에서 분리해야 한다.
(정답률: 57%)

문제 해설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려면 보조권선에 병렬로 저항을 삽입한다."이 틀린 것은 아니다.

보조권선은 높은 저항과 낮은 리액턴스를 갖고, 주권선은 비교적 낮은 저항과 높은 리액턴스를 갖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보조권선에 저항을 삽입하면 전류가 증가하게 되어 높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려면 보조권선에 병렬로 저항을 삽입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또한, 전동기가 기동하여 속도가 어느 정도 상승하면 보조 권선을 전원에서 분리해야 한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