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사

2021년08월14일 27번

[전력공학]
중성점 접지 방식 중 직접접지 송전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는 타접지방식에 비하여 최대로 된다.
  • ②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고 선택차단이 가능하다.
  • ③ 통신선에서의 유도장해는 비접지방식에 비하여 크다.
  • ④ 기기의 절연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정답률: 48%)

문제 해설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는 타접지방식에 비하여 최대로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직접접지 송전방식은 중성점을 지면에 직접 접지시키는 방식으로, 지락 발생 시 지락전류가 지면을 통해 바로 접지되기 때문에 타접지방식에 비해 지락전류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1선 지락 사고 시 지락전류는 타접지방식에 비하여 최대로 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그러나 "기기의 절연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직접접지 송전방식은 중성점을 지면에 직접 접지시키기 때문에 지락 발생 시 지락전류가 작아지는 것 외에도, 기기의 절연레벨을 상승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중성점을 접지시킴으로써 발생하는 유출전류가 감소하고, 따라서 기기의 절연레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