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07월18日 33번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전송케이블의 전기적 1차 정수를 R, L, C, G 라고 할 때 무왜 전송조건은?
- ① RL = CG
- ② RC = LG
- ③ RG = LC
- ④ R = LCG
(정답률: 70%)
문제 해설
연도별
- 2022년10월08日
- 2022년03월12日
- 2021년10월02日
- 2021년03월13日
- 2020년09월26日
- 2020년05월24日
- 2019년10월12日
- 2019년03월09日
- 2018년10월06日
- 2018년03월10日
- 2017년10월14日
- 2017년03월04日
- 2016년10월08日
- 2016년03월05日
- 2015년10월04日
- 2015년03월07日
- 2014년10월04日
- 2014년03월09日
- 2013년10월12日
- 2013년03월17日
- 2012년10월06日
- 2012년03월11日
- 2011년07월31日
- 2011년04월17日
- 2010년07월11日
- 2010년03월28日
- 2009년08월27日
- 2009년03월29日
- 2008년07월13日
- 2007년07월15日
- 2006년07월16日
- 2005년07월17日
- 2004년07월18日
- 2003년07월02日
- 2002년07월21日
따라서, 전송케이블의 전기적 1차 정수인 R, L, C, G는 각각 저항, 인덕턴스, 캐패시턴스, 전도도를 나타내며, 이들 요소는 전송케이블의 전기적인 특성을 결정합니다.
무왜 전송조건은 전송케이블에서 전기적인 신호가 왜곡 없이 전달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며, 이는 전송케이블의 전기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무왜 전송조건은 R, L, C, G의 값에 따라 결정됩니다.
"RC = LG"인 이유는 전송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속도와 감쇠율이 서로 상쇄되어 왜곡 없이 전달되기 위한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이를 간단히 설명하면, 전송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캐패시턴스와 인덕턴스에 의해 각각 속도와 감쇠율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의 값이 서로 상쇄되어야 왜곡 없이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RC = LG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