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2010년03월28日 33번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직교진폭변조(QAM)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검파는 비동기 검파방식을 사용한다.
  • ② M진 QAM 신호의 대역폭 효율은 log2M[bit/Hz]이다.
  • ③ M진 QAM 방식이 M진 PSK 방식보다 오류 확률면에서 우수하다.
  • ④ 신호 합성시 I-CH과 Q-CH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정답률: 61%)

문제 해설

"검파는 비동기 검파방식을 사용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QAM은 I-CH과 Q-CH의 직교진폭을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이 때, I-CH과 Q-CH은 서로 독립적이지 않고 상호 의존적입니다. 따라서 신호 합성시에는 I-CH과 Q-CH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습니다.

M진 QAM 신호의 대역폭 효율은 log2M[bit/Hz]이며, M진 QAM 방식이 M진 PSK 방식보다 오류 확률면에서 우수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QAM 방식의 장점으로 꼽힙니다.

검파는 QAM 신호를 복조하는 과정으로, 비동기 검파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송신측과 수신측의 클럭이 동기화되어 있지 않아도 신호를 복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