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07월31日 33번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최번시 1시간 동안에 회선당 20개의 호가 발생되고 호의 평균 보류시간이 10분일 때, 교환기에 3만 회선 가입자가 수용되어 있다면 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총 트래픽량은?
- ① 100[어랑]
- ② 30000[어랑]
- ③ 100000[어랑]
- ④ 120000[어랑]
(정답률: 76%)
문제 해설
연도별
- 2022년10월08日
- 2022년03월12日
- 2021년10월02日
- 2021년03월13日
- 2020년09월26日
- 2020년05월24日
- 2019년10월12日
- 2019년03월09日
- 2018년10월06日
- 2018년03월10日
- 2017년10월14日
- 2017년03월04日
- 2016년10월08日
- 2016년03월05日
- 2015년10월04日
- 2015년03월07日
- 2014년10월04日
- 2014년03월09日
- 2013년10월12日
- 2013년03월17日
- 2012년10월06日
- 2012년03월11日
- 2011년07월31日
- 2011년04월17日
- 2010년07월11日
- 2010년03월28日
- 2009년08월27日
- 2009년03월29日
- 2008년07월13日
- 2007년07월15日
- 2006년07월16日
- 2005년07월17日
- 2004년07월18日
- 2003년07월02日
- 2002년07월21日
각 호의 평균 보류시간이 10분이므로, 1분당 평균적으로 발생하는 보류호는 20개 × (10분 ÷ 60분) = 3.33개입니다.
따라서, 1시간 동안 1개의 회선에서 발생하는 보류호의 수는 20개 × 10분 = 200개이고, 3만 회선에서 발생하는 보류호의 수는 3만 × 200 = 600만 개입니다.
이를 모두 합하면, 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총 트래픽량은 60만 + 600만 = 660만 개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답을 [어랑]으로 표기하라고 했으므로, 660만을 100으로 나누어 [어랑]으로 표기하면 100000[어랑]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