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2012년03월11日 2번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선형양자화기와 비선형양자화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선형양자화기는 양자화 계단폭이 전 입력신호 기울기에 대해서 동일한 계단크기로 양자화하는 방식이며 오차전압이 일정하여 신호가 작은 부분에서는 양자화 잡음영향이 크다.
  • ② 선형양자화기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양자화 레벨 수를 증가시키면 좋은데 부호화 비트수가 증가되어 전송주파수 대역이 증가하고 고소펄스회로가 필요하다.
  • ③ 비선형양자화기는 양자화 잡음의 영향을 거의 일정하게 하는 방법이며 입력신호의 진폭이 작은 진폭에 대해서는 큰 계단으로 근사시키고 입력신호 진폭이 큰 진폭에 대해서는 작은 계단으로 대응시키는 방법이다.
  • ④ 비선형양자화를 행함으로써 비트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부호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70%)

문제 해설

정답은 "선형양자화기는 양자화 계단폭이 전 입력신호 기울기에 대해서 동일한 계단크기로 양자화하는 방식이며 오차전압이 일정하여 신호가 작은 부분에서는 양자화 잡음영향이 크다."입니다.

선형양자화기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계단크기로 양자화하기 때문에 작은 신호에서는 양자화 잡음이 크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선형양자화기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양자화 레벨 수를 증가시켜야 하지만, 이는 부호화 비트수를 증가시키고 전송주파수 대역을 증가시키며 고소펄스회로가 필요하게 됩니다.

반면에 비선형양자화기는 입력신호의 크기에 따라 다른 계단크기로 양자화하기 때문에 작은 신호에서도 양자화 잡음이 일정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비선형양자화를 통해 부호화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