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10월04日 59번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생산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표준작업방법에 따라 피로와 지연을 수반하여 정상적으로 작업을 수 할 때 소요되는 기준 시간과 현재 실적을 비교 할 것이다. 이 때 그 기준이 되는 시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어느 것인가?
- ① 정미시간 + 여유시간
- ② 표준시간
- ③ 정미시간 × (1+여유율)
- ④ 주작업시간 + 부수작업시간
(정답률: 70%)
문제 해설
연도별
- 2022년10월08日
- 2022년03월12日
- 2021년10월02日
- 2021년03월13日
- 2020년09월26日
- 2020년05월24日
- 2019년10월12日
- 2019년03월09日
- 2018년10월06日
- 2018년03월10日
- 2017년10월14日
- 2017년03월04日
- 2016년10월08日
- 2016년03월05日
- 2015년10월04日
- 2015년03월07日
- 2014년10월04日
- 2014년03월09日
- 2013년10월12日
- 2013년03월17日
- 2012년10월06日
- 2012년03월11日
- 2011년07월31日
- 2011년04월17日
- 2010년07월11日
- 2010년03월28日
- 2009년08월27日
- 2009년03월29日
- 2008년07월13日
- 2007년07월15日
- 2006년07월16日
- 2005년07월17日
- 2004년07월18日
- 2003년07월02日
- 2002년07월21日
정미시간은 작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을 의미하며, 여유시간은 예상치 못한 상황이나 문제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여유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는 작업의 생산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작업의 기준 시간을 설정하는 데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반면에 주작업시간과 부수작업시간은 작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시간을 포함하므로, 이 두 가지를 합산한 것이 작업의 기준 시간이 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가 작업의 생산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