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설비기능장

2019년10월12日 33번

[임의 과목 구분(20문항)]
접속점에서 특성임피던스가 다른 전송선로의 지점에서 신호파가 입력측에 되돌아오는 현상을 반사현상이라고 한다. 반사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입사파와 반사파의 비를 통해 반사계수를 구할 수 있다.
  • ② 신호파의 파장이 짧을수록 발생하기 쉽다.
  • ③ 입력 임피던스가 출력 임피던스와 같을 때 발생한다.
  • ④ 동일한 파장의 경우는 특성 임피던스의 불균등이 클수록 심해진다.
(정답률: 79%)

문제 해설

입력 임피던스가 출력 임피던스와 같을 때 발생한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실제로는 입력 임피던스와 출력 임피던스가 다를 때 반사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전기적으로 매칭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호가 전송선로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반사현상은 신호파의 파장이 짧을수록 발생하기 쉽고, 반사계수를 통해 입사파와 반사파의 비를 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일한 파장의 경우 특성 임피던스의 불균등이 클수록 반사현상이 심해집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