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영역)

2016년07월06日 12번

[과목 구분 없음]
<보기>의 중세 국어 자료에서 나타난 특징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는 현대 국어의 ‘봄에’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끊어 적기를 하였군.
  • 가 현대 국어의 ‘풀과’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방점이 쓰였군.
  • 가 현대 국어의 ‘뿌리게’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단어의 첫머리에 서로 다른 자음이 함께 사용되었군.
  • 이 현대 국어의 ‘마음을’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가 사용되었군.
  • 이 현대 국어의 ‘달을’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모음 조화가 지켜졌군.
(정답률: 30%)

문제 해설

중세 국어 자료에서 나타난 특징은 모음 조화, 끊어쓰기, 방점 사용, 첫머리 자음의 다양한 사용 등이다. 하지만 "이 현대 국어의 ‘마음을’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가 사용되었군."은 중세 국어 자료에서 나타난 특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