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07월06日 12번
[과목 구분 없음] <보기>의 중세 국어 자료에서 나타난 특징을 탐구한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
①
는 현대 국어의 ‘봄에’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끊어 적기를 하였군. -
②
가 현대 국어의 ‘풀과’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방점이 쓰였군. -
③
가 현대 국어의 ‘뿌리게’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단어의 첫머리에 서로 다른 자음이 함께 사용되었군. -
④
이 현대 국어의 ‘마음을’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가 사용되었군. -
이 현대 국어의 ‘달을’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모음 조화가 지켜졌군.
(정답률: 30%)
문제 해설
연도별
- 2016년11월17日
- 2016년10월11日
- 2016년09월01日
- 2016년07월06日
- 2016년06월02日
- 2016년04월06日
- 2016년03월10日
- 2015년11월12日
- 2015년10월13日
- 2015년09월02日
- 2015년07월09日
- 2015년06월04日
- 2015년04월09日
- 2015년03월11日
- 2014년11월13日
- 2014년10월07日
- 2014년09월03日
- 2014년07월10日
- 2014년06월12日
- 2014년04월10日
- 2014년03월12日
- 2013년11월07日
- 2013년10월08日
- 2013년09월03日
- 2013년07월12日
- 2013년06월05日
- 2013년04월11日
- 2013년03월13日
이 현대 국어의 ‘마음을’에 대응하는 것을 보니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가 사용되었군."은 중세 국어 자료에서 나타난 특징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