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2002년10월06일 48번

[실내건축재료]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콘크리트 단면적에 대한 주근 총 단면적의 비율은 기둥 단면의 최소 나비와 각층마다의 기둥의 유효 높이의 비가 10을 초과할 때에는 몇%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 ① 0.2%
  • ② 0.4%
  • ③ 0.6%
  • ④ 0.8%
(정답률: 38%)

문제 해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는 기둥의 단면적 비율이 일정한 값을 유지해야 안전성이 보장됩니다. 이 비율을 최소 나비라고 합니다. 최소 나비는 구조 설계 시 정해지며, 일반적으로 0.7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또한, 각 층마다 기둥의 유효 높이가 다르기 때문에, 각 층마다의 최소 나비를 계산하여 적용해야 합니다.

주근은 기둥의 중심에 위치한 철근으로, 구조물의 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주근의 단면적은 적어도 콘크리트 단면적의 일정 비율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주근 총 단면적의 비율이 묻혔습니다. 이는 콘크리트 단면적과 주근 단면적의 합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단면적에 대한 주근 총 단면적의 비율이 높을수록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문제에서는 최소 나비와 각 층의 기둥 유효 높이의 비가 10을 초과할 때, 주근 총 단면적의 비율을 몇 % 이상으로 해야 하는지 물었습니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일반적으로, 최소 나비와 각 층의 기둥 유효 높이의 비가 10을 초과할 때, 주근 총 단면적의 비율은 0.8% 이상으로 설정됩니다. 이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적인 기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8%"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