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내건축기능사

2007년04월01일 16번

[실내디자인]
다음의 결로 현상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 ① 일반적으로 낮은 온도의 난방을 오래하는 것이 높은 온도의 난방을 짧게 하는 것보다 결로 방지에 효과가 높다.
  • ② 결로는 건물 내부의 표면 온도를 올리고 실내 기온을 노점 이상으로 유지시켰을 경우 주로 발생한다.
  • ③ 결로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과 겨울철 난방시에 발생하기 쉽다.
  • ④ 환기가 잘 되지 않으며, 실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량이 증가되고 습기 처리에 대한 시설이 불완전할 때 결로방생이 많아진다.
(정답률: 59%)

문제 해설

"결로는 고온 다습한 여름철과 겨울철 난방시에 발생하기 쉽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정답은 "결로는 건물 내부의 표면 온도를 올리고 실내 기온을 노점 이상으로 유지시켰을 경우 주로 발생한다." 이유는, 결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표면에 닿아 응축되기 때문에, 건물 내부의 표면 온도가 낮을수록 결로 발생 가능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건물 내부의 표면 온도를 올리고 실내 기온을 노점 이상으로 유지시켜 수증기가 응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결로 방지에 효과적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