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기능사 (2003년01월26일 기출문제)
1과목 : 공조냉동안전관리
1번
보일러 사고원인 중 파열사고의 원인이 될 수 없는 것은?
2번
가스용기를 취급시 주의할 사항 중 잘못 설명한 것은?
3번
용접작업 중 귀마개를 착용하고 작업을 해야 하는 용접작업은?
4번
보일러를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일러의 용량, 사용조건 등에 따라서 연간 계획을 세워야 한다. 아닌 것은?
5번
펌프의 보수 관리시 점검 사항 중 맞지 않는 것은?
6번
접지공사의 목적으로 올바른 것은?
7번
냉동장치에서 냉매가 적정량보다 부족할 경우 제일 먼저 해야할 일은?
8번
감전 되거나 전기 화상을 입을 위험이 있는 작업에서 구비해야 할 것은?
9번
연삭(grinding)작업 시 숫돌차의 주면과 받침대와의 간격은 몇mm 이내로 유지해야 되는가?
10번
사고의 본질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르지 못한 것은?
11번
다음 중 줄 작업시 유의해야 할 내용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2번
낙하나 추락으로 인한 부상 방지용 보호구가 아닌 것은?
13번
산소 용기의 가스누설검사에 가장 안전한 것은?
14번
다음 가스시설 중에서 가스가 누설되고 있을 때 가장 적절한 조치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5번
냉동장치의 냉매설비 기밀시험은?
2과목 : 냉동기계
16번
어떤 기체에 15㎉/㎏의 열량을 가하여 700㎏ㆍm/㎏ 의 일을 하였다.이 기체의 내부 에너지 증가량은 몇 ㎉/㎏ 인가?
17번
어떤 냉동기를 사용하여 25℃ 의 순수한 물 100ℓ 를 -10℃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10분이 걸렸다고 한다면, 이 냉동기는 약 몇 냉동톤이겠는가? (단, 냉동기의 모든 효율은 100% 이다.)
18번
기체의 용해도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9번
증기 압축식 냉동기의 냉매로써 구비해야 할 성질이 아닌 것은?
20번
냉매의 비열비가 크다는 것과 가장 관계가 큰 것은?
21번
이상기체의 엔탈피가 변하지 않는 과정은?
22번
압축기의 상부간격(Top Clearance)이 크면 냉동 장치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23번
제빙용으로 브라인(brine)의 냉각에 적당한 증발기는?
24번
수냉식 응축기의 능력은 냉각수 온도와 냉각수량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응축기의 능력을 증대 시키는 방법에 관한 사항중 틀린 것은?
25번
2단 압축장치의 구성 기기가 아닌 것은?
26번
압축방식에 의한 분류 중 체적 압축식 압축기가 아닌 것은?
27번
드라이어(Dryer)에 관한 사항 중 맞는 것은?
28번
정압식 팽창밸브의 설명 중 틀린 것은?
29번
유압 압력 조정 밸브는 냉동장치의 어느 부분에 설치 되는가?
30번
냉동능력이 45냉동톤인 냉동장치의 수직형 쉘 엔드 튜브응축기에 필요한 냉각수량은 약 얼마인가? (단, 응축기 입구 온도는 23℃이며, 응축기 출구 온도는 28℃라고 함.)
31번
간접 팽창식과 비교한 직접 팽창식 냉동장치의 설명이 아닌 것은?
32번
터보 냉동기와 왕복동식 냉동기를 비교 했을 때 터보 냉동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33번
액순환식 증발기와 액펌프 사이에 반드시 부착해야 하는 것은?
34번
배관 내의 유체를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며, 역류를 방지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설치되는 밸브는?
35번
25A 강관의 관용 나사산수는 길이 25.4mm에 대하여 몇 산이 표준인가?
36번
동관의 가지관 이음에서 본관에는 가지관의 안지름보다 얼마나 큰 구멍을 뚫는가?
37번
나사식 강관 이음쇠(파이프 조인트)에 대한 다음 글 중 맞는 것은?
38번
다음 그림은 KS배관 도시기호에서 무엇을 표시하는가?

39번
시퀀스 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40번
스크류 압축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41번
P-h 선도의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한 것은?
42번
다음 중 NH3의 누설검사로서 적절치 못한 것은?
43번
다음 중 1냉동톤 당 냉매 순환량(kg/h)이 가장 많은 냉매는?
44번
전기저항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45번
증발식 응축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3과목 : 공기조화
46번
공기조화의 기본요소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47번
어떤 방의 체적이 2 × 3 × 2.5m이고 실내온도를 21℃로 유지하기 위하여 실외온도 5℃의 공기를 3회/h로 도입할 때 환기에 의한 손실열량은 약 몇 ㎉/h인가?
48번
다음 중 공기조화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49번
외기온도 30℃와 환기온도 25℃를 1:3의 비율로 혼합하여 바이패스 팩터(BF)가 0.2인 코일에 냉각.감습하는 경우의 코일 출구온도는 몇 ℃ 인가? (단, 코일 표면온도는 12℃이다.)
50번
일상 생활에서 적당한 실온과 상대습도는? (순서대로 실온℃, 상대습도%)
51번
다음 공조방식 중 개별식에 해당되는 것은?
52번
다음 중 팬코일 유니트 방식을 채용하는 이유로 부적당한 것은?
53번
다음 공조 방식에서 전공기 방식이 아닌 것은?
54번
공기조화용 취출구 종류에서 원형 또는 원추형 팬을 달아 여기에 토출기류를 부딪치게하여 천장면에 따라서 수평판 사이로 공기를 내보내는 구조로 되어 있고 유인비 및 소음 발생이 적은 취출구는?
55번
다음 중 사무실, 호텔, 병원 등의 고층 건물에 적합한 공기 조화 방식은?
56번
다음은 증기난방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옳지 않은 것은?
57번
공기 예열기 사용시 이점을 열거한 것 중 아닌 것은?
58번
원심송풍기의 풍량제어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59번
(a), (b), (c)와 같은 관로의 국부저항계수(전압기준)가 큰 것부터 작은 것 순서로 나열하였을 때 가장 적당한 것은?

60번
복사난방의 설계에 사용하는 온도로서, 방을 구성하는 각 벽체의 표면온도를 평균하여 복사난방에서의 쾌감 기준으로 삼는 온도가 있다.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연도별
- 2016년07월10일
- 2016년04월02일
- 2016년01월24일
- 2015년10월10일
- 2015년07월19일
- 2015년04월04일
- 2015년01월25일
- 2014년10월11일
- 2014년07월20일
- 2014년04월06일
- 2014년01월26일
- 2013년10월12일
- 2013년07월21일
- 2013년04월14일
- 2013년01월27일
- 2012년10월20일
- 2012년07월22일
- 2012년04월08일
- 2012년02월12일
- 2011년10월09일
- 2011년07월31일
- 2011년04월17일
- 2011년02월13일
- 2010년10월03일
- 2010년07월11일
- 2010년03월28일
- 2010년01월31일
- 2009년09월27일
- 2009년07월12일
- 2009년03월29일
- 2009년01월18일
- 2008년10월05일
- 2008년07월13일
- 2008년03월30일
- 2008년02월03일
- 2007년09월16일
- 2007년07월15일
- 2007년04월01일
- 2007년01월28일
- 2006년10월01일
- 2006년07월16일
- 2006년04월02일
- 2006년01월22일
- 2005년10월02일
- 2005년07월17일
- 2005년04월03일
- 2004년10월10일
- 2004년07월18일
- 2004년04월04일
- 2003년10월05일
- 2003년07월20일
- 2003년01월26일
- 2002년10월06일
- 2002년04월07일
- 2002년01월27일
- 2001년10월14일
- 2001년07월22일
- 2001년04월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