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2004년09월05日 기출문제)
1과목 : 과목 구분 없음
80번
10.5㎓∼40㎓ 주파수대의 송신설비에서 발사되는 전파의 주파수 허용편차가 다른 것은?
2과목 : 디지털 전자회로
1번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그림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고, 클럭(clk)단자에 5[kHz] 클럭펄스를 인가하였다. 동작시작단계에서 Q 출력을 +5[V]로 하였다면 출력은 ?

2번
다음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

3번
다음 논리계열 중 스위칭 속도가 제일 빠른 것은 ?
4번
PNP 접합 TR 증폭회로에서 콜렉터의 전위는 베이스 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어떤 전위를 걸어 주어야 하는가?
5번
전자계산기의 주기억장치에서 전하의 누설에 대비하여 주기적으로 회생(refresh)시켜 주어야 하는 것은?
6번
신호파의 최고주파수가 4[kHz] 일 때 PCM 변조방식에서 샘플링 주파수 조건은?
7번
전원의 출력단에 가장 적합한 증폭기 회로의 형태는?
8번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9번
다음 회로에서 S=1, R=0 이 인가되었을 때 Q와
의 출력상태는?
의 출력상태는?
10번
J - K 플립플롭에서 Jn = 0, Kn = 1일 때 클록펄스가 1 상태라면 Qn+1의 출력상태는 ?
11번
다음과 같은 RC회로에 직류 기전력을 가했을 때 해당되지 않는 그림은 ?

12번
다음 정류회로에 출력전류가 흐르지 않는 범위는 ? (단, Vi = Vm cos ω t이다.)

13번
2-out of-5 cod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4번
무변조때의 출력이 1[㎾]인 무선전화 송신기를 80[%] 변조하면 출력은 몇[㎾]가 되는가 ?
15번
8진수 67을 16진수로 바르게 표기한 것은 ?
16번
중심 주파수가 455[㎑]이고, 대역폭이 10[㎑]가 되는 단동조회로를 만들려면 이 회로 부하의 Q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
17번
에미터 접지일 때 전류증폭율이 각각 hFE1, hFE2인 두개의 트랜지스터 Q1과 Q2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을 때의 콜렉터 전류 Ic의 크기는?

18번
다음 궤환증폭기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

19번
회로에서 Barkhausen의 발진조건이 만족되는 조건은 ?

20번
다음 그림의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

1번
D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그림과 같은 회로를 구성하고, 클럭(clk)단자에 5[kHz] 클럭펄스를 인가하였다. 동작시작단계에서 Q 출력을 +5[V]로 하였다면 출력은 ?

2번
다음 논리식을 간단히 하면 ?

3번
다음 논리계열 중 스위칭 속도가 제일 빠른 것은 ?
4번
PNP 접합 TR 증폭회로에서 콜렉터의 전위는 베이스 전위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어떤 전위를 걸어 주어야 하는가?
5번
전자계산기의 주기억장치에서 전하의 누설에 대비하여 주기적으로 회생(refresh)시켜 주어야 하는 것은?
6번
신호파의 최고주파수가 4[kHz] 일 때 PCM 변조방식에서 샘플링 주파수 조건은?
7번
전원의 출력단에 가장 적합한 증폭기 회로의 형태는?
8번
연산증폭기에 대한 설명이다. 틀린 것은 ?
9번
다음 회로에서 S=1, R=0 이 인가되었을 때 Q와
의 출력상태는?
의 출력상태는?
10번
J - K 플립플롭에서 Jn = 0, Kn = 1일 때 클록펄스가 1 상태라면 Qn+1의 출력상태는 ?
11번
다음과 같은 RC회로에 직류 기전력을 가했을 때 해당되지 않는 그림은 ?

12번
다음 정류회로에 출력전류가 흐르지 않는 범위는 ? (단, Vi = Vm cos ω t이다.)

13번
2-out of-5 code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
14번
무변조때의 출력이 1[㎾]인 무선전화 송신기를 80[%] 변조하면 출력은 몇[㎾]가 되는가 ?
15번
8진수 67을 16진수로 바르게 표기한 것은 ?
16번
중심 주파수가 455[㎑]이고, 대역폭이 10[㎑]가 되는 단동조회로를 만들려면 이 회로 부하의 Q는 얼마로 하여야 하는가 ?
17번
에미터 접지일 때 전류증폭율이 각각 hFE1, hFE2인 두개의 트랜지스터 Q1과 Q2를 그림과 같이 접속하였을 때의 콜렉터 전류 Ic의 크기는?

18번
다음 궤환증폭기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틀리는 것은 ?

19번
회로에서 Barkhausen의 발진조건이 만족되는 조건은 ?

20번
다음 그림의 회로는 무슨 회로인가 ?

3과목 : 무선통신 기기
21번
FM 변조 방식 중 직접 FM 변조 방식인 것은?
22번
각 10[m]씩 떨어진 A,B,C 3개소 접지판의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콜라우시 브리지로 측정하였더니 A-B간 저항은 10[Ω],B-C간의 저항은 16[Ω],C-A간의 저항은 6[Ω] 이었다면 B의 접지저항은 얼마인가?
23번
SSB통신 방식을 DSB통신 방식과 비교할 때 틀린 것은?
24번
정류기에서 맥동성분을 제거하고 직류성분만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회로는?
25번
위성 중계기의 구성 중 신호 증폭부에 사용되는 광대역 증폭기는?
26번
무부하시 직류 출력 전압이 10[V],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rf가 10[Ω]인 반파 정류기에서 부하 전류의 규격값을 100[㎃]로 하고자 한다. 부하 저항의 값은 얼마로 하여야 좋은가 ?
27번
다음 중 급전선 등 전송선로의 정합상태의 양부를 나타내는 것은?
28번
다음 중 AM 송신기의 구성요소로서 맞지 않는 것은?
29번
FM 수신기 복조기에서 Foster-Seely형과 Ratio- Detector형의 검파감도 비는?
30번
어느 수신기의 입력에 20㎶의 전압을 가했더니 출력 전압이 20V이었다.이 때 이 수신기의 감도는 몇 dB인가?
31번
M/W중계방식 중 장해물 정상에 송·수신 안테나를 설치하거나 반사판을 설치하여 전파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방식은 ?
32번
AM수신기 및 FM수신기에서 다같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33번
위성의 다원접속기술에서 회선할당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34번
기본파 진폭이 20[V], 제 2, 제 3고조파의 진폭이 각각 2[V], 1 [V] 되는 고주파 전압의 왜율은 얼마인가 ?
35번
마이크로 웨이브파의 파장 측정에 적합한 것은 ?
36번
다음 중 점유 주파수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37번
정지위성에 장착하는 안테나가 갖추어야 할 조건과 관계가 먼 것은?
38번
FM 수신기에서 수신입력 레벨을 감소 시켜가면 어떤 값에서 출력의 S/N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의 수신레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9번
FM수신기에서 입력신호가 없을 때 잡음이 대단히 크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주파 증폭부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도록 동작을 하는 회로는?
40번
무선송신기에 수정진동자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21번
FM 변조 방식 중 직접 FM 변조 방식인 것은?
22번
각 10[m]씩 떨어진 A,B,C 3개소 접지판의 접지저항을 측정하기 위하여 콜라우시 브리지로 측정하였더니 A-B간 저항은 10[Ω],B-C간의 저항은 16[Ω],C-A간의 저항은 6[Ω] 이었다면 B의 접지저항은 얼마인가?
23번
SSB통신 방식을 DSB통신 방식과 비교할 때 틀린 것은?
24번
정류기에서 맥동성분을 제거하고 직류성분만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회로는?
25번
위성 중계기의 구성 중 신호 증폭부에 사용되는 광대역 증폭기는?
26번
무부하시 직류 출력 전압이 10[V], 다이오드의 순방향 저항 rf가 10[Ω]인 반파 정류기에서 부하 전류의 규격값을 100[㎃]로 하고자 한다. 부하 저항의 값은 얼마로 하여야 좋은가 ?
27번
다음 중 급전선 등 전송선로의 정합상태의 양부를 나타내는 것은?
28번
다음 중 AM 송신기의 구성요소로서 맞지 않는 것은?
29번
FM 수신기 복조기에서 Foster-Seely형과 Ratio- Detector형의 검파감도 비는?
30번
어느 수신기의 입력에 20㎶의 전압을 가했더니 출력 전압이 20V이었다.이 때 이 수신기의 감도는 몇 dB인가?
31번
M/W중계방식 중 장해물 정상에 송·수신 안테나를 설치하거나 반사판을 설치하여 전파를 목적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방식은 ?
32번
AM수신기 및 FM수신기에서 다같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33번
위성의 다원접속기술에서 회선할당방식에 속하지 않는 것은?
34번
기본파 진폭이 20[V], 제 2, 제 3고조파의 진폭이 각각 2[V], 1 [V] 되는 고주파 전압의 왜율은 얼마인가 ?
35번
마이크로 웨이브파의 파장 측정에 적합한 것은 ?
36번
다음 중 점유 주파수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37번
정지위성에 장착하는 안테나가 갖추어야 할 조건과 관계가 먼 것은?
38번
FM 수신기에서 수신입력 레벨을 감소 시켜가면 어떤 값에서 출력의 S/N이 급격히 감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의 수신레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39번
FM수신기에서 입력신호가 없을 때 잡음이 대단히 크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저주파 증폭부를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도록 동작을 하는 회로는?
40번
무선송신기에 수정진동자를 사용하는 이유로 가장 타당한 것은?
4과목 : 안테나 개론
41번
제 3과목: 안테나개론 출력 100[㎾] 로써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파가 안테나로부터 20[㎞]떨어진 장소에서의 전계강도는 얼마인가 ? (단, 1[㎞] 떨어진 곳에서는 1.73[V/m] 이다.)
42번
다음은 디스콘(discone) 안테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는 것은?
43번
비유전율이 2.56, 비투자율이 1인 유전체의 고유 임피던스[Ω]는?
44번
지상고가 같을 때 역L형 안테나가 수직안테나 보다 실효고가 크다. 그 이유는?
45번
다음 중 부 반사기로 볼록 타원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위성통신 지구국용 고이득 저잡음 안테나는 ?
46번
λ /4 수직접지 안테나의 복사저항은? (단, ℓ : 안테나의 실효고)
47번
단방향 지향성 안테나가 아닌 것은 ?
48번
동축 cable의 특성 임피던스는 ? (단, D : 외부 도체의 직경, d : 내부 도체의 직경)
49번
태양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의 돌발적 증가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파방해는 ?
50번
수퍼게인(super gain)안테나를 TV송신용으로 사용하려고 할 때 고려하여야할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
51번
접지 안테나의 기저부에 정전용량 C를 직렬로 삽입할 경우 맞는 설명은?
52번
다음은 초단파의 전파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53번
다음은 MUF(Maximum Usable Frequency)의 설명이다. 옳지 못한 것은 ?
54번
루우프 안테나와 수직 안테나를 조합하면 수평면내 지향성은 어떻게 되는가?
55번
복사 저항 300[Ω]인 두개의 안테나를 λ /4 임피던스 변환기를 사용하여 300[Ω]의 평행 2선식 급전선에 정합시키고자 할 때 변환기의 임피던스는 얼마이어야 하는가 ?

56번
동조 급전선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57번
안테나에서 발사된 수직편파가 지구자계의 영향을 받는 전리층에서 반사되면 어떠한 편파가 되는가 ?
58번
대지의 융기부나 기타 지상에 있는 전파 장애물을 지나 수신점까지 도달하는 전파는 ?
59번
급전선에서 정재파비가 1인 경우는 ?
60번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저항은 ?
41번
제 3과목: 안테나개론 출력 100[㎾] 로써 방송되고 있는 라디오파가 안테나로부터 20[㎞]떨어진 장소에서의 전계강도는 얼마인가 ? (단, 1[㎞] 떨어진 곳에서는 1.73[V/m] 이다.)
42번
다음은 디스콘(discone) 안테나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는 것은?
43번
비유전율이 2.56, 비투자율이 1인 유전체의 고유 임피던스[Ω]는?
44번
지상고가 같을 때 역L형 안테나가 수직안테나 보다 실효고가 크다. 그 이유는?
45번
다음 중 부 반사기로 볼록 타원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위성통신 지구국용 고이득 저잡음 안테나는 ?
46번
λ /4 수직접지 안테나의 복사저항은? (단, ℓ : 안테나의 실효고)
47번
단방향 지향성 안테나가 아닌 것은 ?
48번
동축 cable의 특성 임피던스는 ? (단, D : 외부 도체의 직경, d : 내부 도체의 직경)
49번
태양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의 돌발적 증가로 인하여 발생되는 전파방해는 ?
50번
수퍼게인(super gain)안테나를 TV송신용으로 사용하려고 할 때 고려하여야할 사항으로 맞지 않는 것은 ?
51번
접지 안테나의 기저부에 정전용량 C를 직렬로 삽입할 경우 맞는 설명은?
52번
다음은 초단파의 전파 특성을 설명한 것이다. 틀린 것은?
53번
다음은 MUF(Maximum Usable Frequency)의 설명이다. 옳지 못한 것은 ?
54번
루우프 안테나와 수직 안테나를 조합하면 수평면내 지향성은 어떻게 되는가?
55번
복사 저항 300[Ω]인 두개의 안테나를 λ /4 임피던스 변환기를 사용하여 300[Ω]의 평행 2선식 급전선에 정합시키고자 할 때 변환기의 임피던스는 얼마이어야 하는가 ?

56번
동조 급전선의 설명 중 잘못된 것은 ?
57번
안테나에서 발사된 수직편파가 지구자계의 영향을 받는 전리층에서 반사되면 어떠한 편파가 되는가 ?
58번
대지의 융기부나 기타 지상에 있는 전파 장애물을 지나 수신점까지 도달하는 전파는 ?
59번
급전선에서 정재파비가 1인 경우는 ?
60번
반파장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저항은 ?
5과목 :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번
다수의 인터럽트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한 인터럽트 요구에 대해서만 인터럽트가 금지되도록 사용하는 것은?
62번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널리 채택되어 있는 코드로서 특히 데이터 통신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
63번
우주국 재허가의 신청은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전 어느 시점에 하여야 하는가?
64번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65번
논리회로에서의 인버터(inverter)와 같이 복잡한 논리연산을 위한 연산자로 이용되며 음수의 표현에 필요한 연산기는 ?
66번
일반적인 컴퓨터 구조에서 CPU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67번
다음은 인증번호 부여 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68번
유도식통신설비 및 전력선반송설비에서 발사되는 고조파·저조파 또는 기생발사강도는 기본파에 대하여 몇 ㏈ 이하이어야 하는가?
69번
다음 중 명령어가 해독되는 장치는?
70번
인터럽트 발생시 되돌아 올 주소(Return Address)를 기억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71번
무선국의 주파수지정을 변경함으로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해야 한다. 다음중 예외의 경우가 아닌 것은?
72번
16진수 73C.4E 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 중 어느 값이 근사치인가 ?
73번
수신설비로부터 부차적으로 발사되는 전파의 세기는 수신 공중선과 전기적 상수가 같은 의사공중선회로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74번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기억장치 읽기 신호와 쓰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출력장치에 대한 읽기와 쓰기를 수행할 수 있는 방식은?
75번
정보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거나 읽어내는 명령이 있고난 후부터 실제로 데이터가 기억되거나 또는 읽기가 시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76번
발사에 의하여 점유하는 주파수대의 중심주파수와 지정주파수 사이에 허용될 수 있는 최대편차를 백만분율 또는 ㎐로 표시하는 것은?
77번
다음 용어의 정의 중 무선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마다의 중심주파수를 말하는 것은?
78번
전파형식의 표시에서 진폭변조중 단측파대에서 저감 또는 가변레벨반송파에 해당되는 기호는 어느 것인가 ?
79번
송신설비의 공중선·급전선 등 고압전기를 통하는 장치는 사람이 보행하거나 기거하는 평면으로부터 몇 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61번
다수의 인터럽트 요청이 있는 경우, 특정한 인터럽트 요구에 대해서만 인터럽트가 금지되도록 사용하는 것은?
62번
마이크로 컴퓨터에서 널리 채택되어 있는 코드로서 특히 데이터 통신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것은 ?
63번
우주국 재허가의 신청은 허가의 유효기간 만료전 어느 시점에 하여야 하는가?
64번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65번
논리회로에서의 인버터(inverter)와 같이 복잡한 논리연산을 위한 연산자로 이용되며 음수의 표현에 필요한 연산기는 ?
66번
일반적인 컴퓨터 구조에서 CPU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
67번
다음은 인증번호 부여 방법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틀린 것은?

68번
유도식통신설비 및 전력선반송설비에서 발사되는 고조파·저조파 또는 기생발사강도는 기본파에 대하여 몇 ㏈ 이하이어야 하는가?
69번
다음 중 명령어가 해독되는 장치는?
70번
인터럽트 발생시 되돌아 올 주소(Return Address)를 기억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71번
무선국의 주파수지정을 변경함으로서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해야 한다. 다음중 예외의 경우가 아닌 것은?
72번
16진수 73C.4E 를 10진수로 변환하면 다음 중 어느 값이 근사치인가 ?
73번
수신설비로부터 부차적으로 발사되는 전파의 세기는 수신 공중선과 전기적 상수가 같은 의사공중선회로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얼마 이하이어야 하는가?
74번
중앙처리장치로부터 발생되는 기억장치 읽기 신호와 쓰기 신호를 이용하여 입출력장치에 대한 읽기와 쓰기를 수행할 수 있는 방식은?
75번
정보를 기억장치에 기억시키거나 읽어내는 명령이 있고난 후부터 실제로 데이터가 기억되거나 또는 읽기가 시작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76번
발사에 의하여 점유하는 주파수대의 중심주파수와 지정주파수 사이에 허용될 수 있는 최대편차를 백만분율 또는 ㎐로 표시하는 것은?
77번
다음 용어의 정의 중 무선국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마다의 중심주파수를 말하는 것은?
78번
전파형식의 표시에서 진폭변조중 단측파대에서 저감 또는 가변레벨반송파에 해당되는 기호는 어느 것인가 ?
79번
송신설비의 공중선·급전선 등 고압전기를 통하는 장치는 사람이 보행하거나 기거하는 평면으로부터 몇 미터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80번
10.5㎓∼40㎓ 주파수대의 송신설비에서 발사되는 전파의 주파수 허용편차가 다른 것은?
연도별
- 2023年03月21日
- 2023년03월21日
- 2021年10月02日
- 2021년10월02日
- 2020年09月26日
- 2020년09월26日
- 2020年06月27日
- 2020년06월27日
- 2020年05月24日
- 2020년05월24日
- 2019年10月12日
- 2019년10월12日
- 2019年06月29日
- 2019년06월29日
- 2019年03月09日
- 2019년03월09日
- 2018年10月06日
- 2018년10월06日
- 2018年04月28日
- 2018년04월28日
- 2018年03月04日
- 2018년03월04日
- 2017年09月23日
- 2017년09월23日
- 2017年05月07日
- 2017년05월07日
- 2017年03月05日
- 2017년03월05日
- 2016年10月01日
- 2016년10월01日
- 2016年05月08日
- 2016년05월08日
- 2016年03月05日
- 2016년03월05日
- 2015年10月04日
- 2015년10월04日
- 2015年06月06日
- 2015년06월06日
- 2015年03月07日
- 2015년03월07日
- 2014年10月04日
- 2014년10월04日
- 2014年05月31日
- 2014년05월31日
- 2014年03月09日
- 2014년03월09日
- 2013年10月12日
- 2013년10월12日
- 2013年06月09日
- 2013년06월09日
- 2013年03月17日
- 2013년03월17日
- 2012年10月06日
- 2012년10월06日
- 2012年06月03日
- 2012년06월03日
- 2012年03月11日
- 2012년03월11日
- 2011年09月25日
- 2011년09월25日
- 2011年05月29日
- 2011년05월29日
- 2011年03月13日
- 2011년03월13日
- 2010年10月10日
- 2010년10월10日
- 2010年05月02日
- 2010년05월02日
- 2010年03月14日
- 2010년03월14日
- 2010年02月21日
- 2010년02월21日
- 2009年07月26日
- 2009년07월26日
- 2009年05月10日
- 2009년05월10日
- 2009年03月01日
- 2009년03월01日
- 2008年09月07日
- 2008년09월07日
- 2008年05月11日
- 2008년05월11日
- 2008年03月02日
- 2008년03월02日
- 2007年09月02日
- 2007년09월02日
- 2007年05月13日
- 2007년05월13日
- 2007年03月04日
- 2007년03월04日
- 2006年09月10日
- 2006년09월10日
- 2006年05月14日
- 2006년05월14日
- 2006年03月05日
- 2006년03월05日
- 2005年09月04日
- 2005년09월04日
- 2005年05月29日
- 2005년05월29日
- 2005年03月20日
- 2005년03월20日
- 2005年03月06日
- 2005년03월06日
- 2004年09月05日
- 2004년09월05日
- 2004年05月23日
- 2004년05월23日
- 2004年03月07日
- 2004년03월07日
- 2003年08月31日
- 2003년08월31日
- 2003年05月25日
- 2003년05월25日
- 2003年03月16日
- 2003년03월16日
- 2002年09月08日
- 2002년09월08日
- 2002年05月26日
- 2002년05월26日
- 2002年03月10日
- 2002년03월10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