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2011年09月25日 기출문제)
1과목 : 과목 구분 없음
80번
무선국의 시설자는 통신상 보안을 요하는 사항에 대하여 통신보안용 약호를 정한 후 누구의 승인을 얻어 사용하여야 하는가?
2과목 : 디지털 전자회로
1번
전원공급기 필터로서 정류기의 출력저항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소자는?
2번
전원 정류회로의 리플 함유율을 적게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3번
평활회로를 통과한 출력전압이 V=8+2√2sin(wt)[V]일 때, 맥동률은 얼마인가?
4번
이미터접지 트랜지스터 증폭기회로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전압 위상차는 얼마인가?
5번
FET 증폭기에 있어서 |AV|=30, Cgd=1[pF], Cgs=10[pF]일 때의, 등가입력용량은 얼마인가?
6번
2단 이상의 증폭기에서 잡음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7번
이상적인 연산증폭회로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8번
다음 중 발진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맞는 것은?
9번
수정 발진회로에서 수정 진동자의 전기적 직렬 공진 주파수를 fS, 병렬 공진 주파수를 fP 라 할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한 조건은? (단, fa는 발진 주파수이다.)
10번
아날로그 TV의 영상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한 쪽 측파대의 일부를 남겨 통신하는 방식은?
11번
펄스의 주기와 진폭은 일정하고, 펄스의 폭을 입력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은?
12번
RC 직렬회로에서 R=500[kΩ], C=2[μF]이다 C의 양단이 출력이고 입력단에 20[V]를 인가하였다. 입력을 인가한 시점부터 출력이 12.64[V]가 되는 시간은?
13번
하강시간(Fall Time)은 펄스 진폭의 몇 [%]부터 몇 [%]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인가?
14번
최대 표현 숫자가 256 종류인 경우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몇 비트의 디지트가 필요하게 되는가?
15번
디지털 IC 계열에 대한 특성이 다음 표와 같다면, 논리장치인 CHIP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가장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6번
다음의 진리표에 대한 논리회로 기호로 올바른 것은?

17번
다음 중 비동기식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번
비동기식 카운터의 플립플롭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9번
다음 중 멀티플렉서의 실현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20번
반가산기(Half adder)에 대한 논리회로도로 옳은 것은? (X, Y: 입력, C: Carry, S: 합)
1번
전원공급기 필터로서 정류기의 출력저항과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하는데 가장 적합한 소자는?
2번
전원 정류회로의 리플 함유율을 적게하는 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3번
평활회로를 통과한 출력전압이 V=8+2√2sin(wt)[V]일 때, 맥동률은 얼마인가?
4번
이미터접지 트랜지스터 증폭기회로에서 입력신호와 출력신호의 전압 위상차는 얼마인가?
5번
FET 증폭기에 있어서 |AV|=30, Cgd=1[pF], Cgs=10[pF]일 때의, 등가입력용량은 얼마인가?
6번
2단 이상의 증폭기에서 잡음을 줄일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7번
이상적인 연산증폭회로의 조건으로 틀린 것은?
8번
다음 중 발진 조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맞는 것은?
9번
수정 발진회로에서 수정 진동자의 전기적 직렬 공진 주파수를 fS, 병렬 공진 주파수를 fP 라 할 때, 가장 안정된 발진을 하기 위한 조건은? (단, fa는 발진 주파수이다.)
10번
아날로그 TV의 영상신호 전송에 사용되는 방식으로 한 쪽 측파대의 일부를 남겨 통신하는 방식은?
11번
펄스의 주기와 진폭은 일정하고, 펄스의 폭을 입력신호에 따라 변화시키는 변조 방식은?
12번
RC 직렬회로에서 R=500[kΩ], C=2[μF]이다 C의 양단이 출력이고 입력단에 20[V]를 인가하였다. 입력을 인가한 시점부터 출력이 12.64[V]가 되는 시간은?
13번
하강시간(Fall Time)은 펄스 진폭의 몇 [%]부터 몇 [%]까지 떨어지는데 걸리는 시간인가?
14번
최대 표현 숫자가 256 종류인 경우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몇 비트의 디지트가 필요하게 되는가?
15번
디지털 IC 계열에 대한 특성이 다음 표와 같다면, 논리장치인 CHIP의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가장 낮은 전력을 소모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6번
다음의 진리표에 대한 논리회로 기호로 올바른 것은?

17번
다음 중 비동기식 카운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8번
비동기식 카운터의 플립플롭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9번
다음 중 멀티플렉서의 실현에 대한 내용으로 틀린 것은?
20번
반가산기(Half adder)에 대한 논리회로도로 옳은 것은? (X, Y: 입력, C: Carry, S: 합)
3과목 : 무선통신 기기
21번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 있어서 고주파 증폭회로의 역할이 아닌 것은?
22번
AM 수신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 요소로써 적합하지 않은 것은?
23번
DSB 통신 방식과 비교한 SSB 송신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24번
주파수 변조(FM) 수신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25번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4상식 위상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 신호 속도는 몇 [bps]인가?
26번
다음 중 주파수분할방식(FDM)에 대한 시분할 방식(TDM)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27번
정지궤도(GEO) 위성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28번
통신시스템에서 신호강도와 전송된 후의 신호강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dB]를 사용하는데 이때 등방성 안테나 이득을 표현할 때의 단위는?
29번
다음 중 위성통신 등에서 하나의 음성채널에 대하여 하나의 단일 반송파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30번
동일한 CDMA 주파수를 사용하는 동일 기지국내 섹터간 핸드오프에 해당되는 것은?
31번
다음 위성통신에 사용되는 전원계의 구성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32번
다음 중 축전지의 충전의 종류가 아닌 것은?
33번
전원 전압의 변동 및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회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34번
입력 교류전력이 60[W]이고, 출력 직류전력이 120[W]일 경우 정류효율은 몇 [%]인가?
35번
120[MHz]인 반송파를 20[kHz]인 신호파로 FM 변조했을 때 최대주파수 편이가 100[kHz]이면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36번
FM 송신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에 필요하지 않는 것은?
37번
다음 중 송신기의 RF 간섭 및 변조파 특성을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계측기는?
38번
수신기의 종합 특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혼신 및 간섭 등을 어느 정도까지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가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39번
다음 그림은 FM 송신기의 신호대 잡음비의 측정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A)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40번
특성임피던스 Zo가 75[Ω]인 선로 종단에 Zo보다 적은 부하저항을 접속한 후 송신단자에서 신호를 인가하였다. 이때 선로상의 파형을 측정하였더니 최고전압이 25[V], 최저전압이 5[V]이었다. 이 선로의 전압정재파비(VSWR)은 얼마인가?
21번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 있어서 고주파 증폭회로의 역할이 아닌 것은?
22번
AM 수신기의 특성을 나타내는 중요 요소로써 적합하지 않은 것은?
23번
DSB 통신 방식과 비교한 SSB 송신기의 장점이 아닌 것은?
24번
주파수 변조(FM) 수신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25번
변조속도가 2,400[Baud]일 때 4상식 위상변조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의 데이터 신호 속도는 몇 [bps]인가?
26번
다음 중 주파수분할방식(FDM)에 대한 시분할 방식(TDM)의 특징으로 맞지 않는 것은?
27번
정지궤도(GEO) 위성에 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28번
통신시스템에서 신호강도와 전송된 후의 신호강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dB]를 사용하는데 이때 등방성 안테나 이득을 표현할 때의 단위는?
29번
다음 중 위성통신 등에서 하나의 음성채널에 대하여 하나의 단일 반송파를 할당하여 전송하는 방식은?
30번
동일한 CDMA 주파수를 사용하는 동일 기지국내 섹터간 핸드오프에 해당되는 것은?
31번
다음 위성통신에 사용되는 전원계의 구성 중 해당되지 않는 것은?
32번
다음 중 축전지의 충전의 종류가 아닌 것은?
33번
전원 전압의 변동 및 온도 변화 등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회로를 무엇이라 하는가?
34번
입력 교류전력이 60[W]이고, 출력 직류전력이 120[W]일 경우 정류효율은 몇 [%]인가?
35번
120[MHz]인 반송파를 20[kHz]인 신호파로 FM 변조했을 때 최대주파수 편이가 100[kHz]이면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36번
FM 송신기의 주파수 특성 측정에 필요하지 않는 것은?
37번
다음 중 송신기의 RF 간섭 및 변조파 특성을 측정하기에 가장 적합한 계측기는?
38번
수신기의 종합 특성을 결정하는 파라미터로서 혼신 및 간섭 등을 어느 정도까지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는가의 능력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39번
다음 그림은 FM 송신기의 신호대 잡음비의 측정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A)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40번
특성임피던스 Zo가 75[Ω]인 선로 종단에 Zo보다 적은 부하저항을 접속한 후 송신단자에서 신호를 인가하였다. 이때 선로상의 파형을 측정하였더니 최고전압이 25[V], 최저전압이 5[V]이었다. 이 선로의 전압정재파비(VSWR)은 얼마인가?
4과목 : 안테나 개론
41번
전계와 자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42번
Maxwell 방정식을 이루는 법칙이 아닌 것은?
43번
자유공간에서 단위면적을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전파에너지가 3[μW/m2 ]이었다. 이때 자유공간의 전계강도는 약 얼마인가?
44번
다음 중 공중선과 급전선간 부정합시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45번
특성 임피던스가 75[Ω]인 급전선상의 VSWR (전압정재파비)가 4라면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46번
방송 주파수 100[MHz]용 공중선의 비동조 급전선의 끝을 단락, 접지한 75[cm]의 트랩을 접속할 때 일어나는 현상과 관련없는 것은?
47번
동축 급전선과 비교한 도파관의 특징이다. 옳지 않은 것은?
48번
아이솔레이터(Isolator)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49번
미소 다이폴(hertz dipole)의 전계강도를 구하는 공식으로 맞지 않는 것은? (단, P: 복사전력, L: 안테나 길이, d: 안테나로부터 떨어진 거리)
50번
λ/4의 수직접지 안테나에 주파수 2[MHz]이고, 급전점의 최대 전류가 10[A]를 흘렸을 때 도선상의 25[m]인 지점에서의 전류는 얼마인가?
51번
다음 중 지향성 공중선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52번
위성통신 지구국용 고이득 저잡음 안테나로써 회전 쌍곡선 곡면을 부반사경으로 사용하는 안테나는?
53번
지구국 수신기의 수신능력을 나타내는 것은?
54번
다음 중 직접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은?
55번
다음 중 VHF와 UHF의 주파수 범위는?
56번
초단파대 전파가 전파될 때, 그 사이에 존재하는 산악 회절파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57번
어느 송ㆍ수신소 사이의 MUF(Maximum User Frequency)가 10[MHz]일 때 FOT(Frequency of Optimum Transmission)는 얼마인가?
58번
전리층 반사파는 입사각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커야만 지구로 돌아온다. 이때 전리층 반사파가 최초로 지표면에 도달하는 지점과 송신점 간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59번
단파가 전리층을 통과하거나 반사될 때, 전자가 공기분자와 충돌로 인하여 감쇠량이 변하여 발생하는 페이딩은?
60번
다음 중 도약성 페이딩의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1번
전계와 자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른 것은?
42번
Maxwell 방정식을 이루는 법칙이 아닌 것은?
43번
자유공간에서 단위면적을 단위시간에 통과하는 전파에너지가 3[μW/m2 ]이었다. 이때 자유공간의 전계강도는 약 얼마인가?
44번
다음 중 공중선과 급전선간 부정합시의 문제점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45번
특성 임피던스가 75[Ω]인 급전선상의 VSWR (전압정재파비)가 4라면 반사계수는 얼마인가?
46번
방송 주파수 100[MHz]용 공중선의 비동조 급전선의 끝을 단락, 접지한 75[cm]의 트랩을 접속할 때 일어나는 현상과 관련없는 것은?
47번
동축 급전선과 비교한 도파관의 특징이다. 옳지 않은 것은?
48번
아이솔레이터(Isolator)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49번
미소 다이폴(hertz dipole)의 전계강도를 구하는 공식으로 맞지 않는 것은? (단, P: 복사전력, L: 안테나 길이, d: 안테나로부터 떨어진 거리)
50번
λ/4의 수직접지 안테나에 주파수 2[MHz]이고, 급전점의 최대 전류가 10[A]를 흘렸을 때 도선상의 25[m]인 지점에서의 전류는 얼마인가?
51번
다음 중 지향성 공중선의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52번
위성통신 지구국용 고이득 저잡음 안테나로써 회전 쌍곡선 곡면을 부반사경으로 사용하는 안테나는?
53번
지구국 수신기의 수신능력을 나타내는 것은?
54번
다음 중 직접파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은?
55번
다음 중 VHF와 UHF의 주파수 범위는?
56번
초단파대 전파가 전파될 때, 그 사이에 존재하는 산악 회절파의 특징 중 잘못된 것은?
57번
어느 송ㆍ수신소 사이의 MUF(Maximum User Frequency)가 10[MHz]일 때 FOT(Frequency of Optimum Transmission)는 얼마인가?
58번
전리층 반사파는 입사각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커야만 지구로 돌아온다. 이때 전리층 반사파가 최초로 지표면에 도달하는 지점과 송신점 간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59번
단파가 전리층을 통과하거나 반사될 때, 전자가 공기분자와 충돌로 인하여 감쇠량이 변하여 발생하는 페이딩은?
60번
다음 중 도약성 페이딩의 방지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5과목 :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61번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 혹은 I/O 장치와의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들의 집합은?
62번
주소 형식에 따른 컴퓨터 구조에서 0-주소 명령어 형식은?
63번
연산방식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64번
ASCII-8 코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5번
은행, 식당 또는 버스 정류장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줄을 서있는 원리와 같은 자료구조는?
66번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의 본체 및 각 주변장치를 가장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67번
다음 중 일반 컴퓨터 형태가 아닌 주로 회로 기판 형태의 반도체 기억소자에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68번
다음 스케줄링 기법 중에서 성격이 다른 것은?
69번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레지스터 중 현재 수행 중이거나 다음 클럭 사이클에 수행해야 할 명령의 주소를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가?
70번
다음 중 인터럽트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71번
다음 중 전파법은?
72번
전파법의 용어 중 틀리게 설명된 것은?
73번
다음 중 준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운용할 수 있는 무선국으로 틀린 것은?
74번
40톤 이상의 어선인 의무선박국의 정기검사 시기는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몇 개월 이내에 실시하여야 하는가?
75번
무선국 운용시 직접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하는 자로 볼 수 없는 것은?
76번
방송통신위원회가 수행하는 전파 감시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7번
인증이 면제되는 방송통신기자재에서 적합성평가의 전부가 면제되는 기자재에 해당되지 않는 항은?
78번
다음 중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하는 선박국용 양방향 무선전화장치의 전파형식 기호로 맞는 것은?
79번
무선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장치로서 전원 회로의 퓨즈 또는 차단기는 공중선 전력이 얼마 이상일 때 갖추어야 하는가?
61번
중앙처리장치가 기억장치 혹은 I/O 장치와의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들의 집합은?
62번
주소 형식에 따른 컴퓨터 구조에서 0-주소 명령어 형식은?
63번
연산방식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64번
ASCII-8 코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65번
은행, 식당 또는 버스 정류장에서 서비스를 받기 위해 줄을 서있는 원리와 같은 자료구조는?
66번
컴퓨터 사용자가 컴퓨터의 본체 및 각 주변장치를 가장 능률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은?
67번
다음 중 일반 컴퓨터 형태가 아닌 주로 회로 기판 형태의 반도체 기억소자에 응용 프로그램을 탑재하여 컴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68번
다음 스케줄링 기법 중에서 성격이 다른 것은?
69번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레지스터 중 현재 수행 중이거나 다음 클럭 사이클에 수행해야 할 명령의 주소를 가리키는 것은 무엇인가?
70번
다음 중 인터럽트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은 무엇인가?
71번
다음 중 전파법은?
72번
전파법의 용어 중 틀리게 설명된 것은?
73번
다음 중 준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운용할 수 있는 무선국으로 틀린 것은?
74번
40톤 이상의 어선인 의무선박국의 정기검사 시기는 유효기간 만료일 전후 몇 개월 이내에 실시하여야 하는가?
75번
무선국 운용시 직접 통신보안에 관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하는 자로 볼 수 없는 것은?
76번
방송통신위원회가 수행하는 전파 감시의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77번
인증이 면제되는 방송통신기자재에서 적합성평가의 전부가 면제되는 기자재에 해당되지 않는 항은?
78번
다음 중 적합성평가를 받아야 하는 선박국용 양방향 무선전화장치의 전파형식 기호로 맞는 것은?
79번
무선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장치로서 전원 회로의 퓨즈 또는 차단기는 공중선 전력이 얼마 이상일 때 갖추어야 하는가?
80번
무선국의 시설자는 통신상 보안을 요하는 사항에 대하여 통신보안용 약호를 정한 후 누구의 승인을 얻어 사용하여야 하는가?
연도별
- 2023年03月21日
- 2023년03월21日
- 2021年10月02日
- 2021년10월02日
- 2020年09月26日
- 2020년09월26日
- 2020年06月27日
- 2020년06월27日
- 2020年05月24日
- 2020년05월24日
- 2019年10月12日
- 2019년10월12日
- 2019年06月29日
- 2019년06월29日
- 2019年03月09日
- 2019년03월09日
- 2018年10月06日
- 2018년10월06日
- 2018年04月28日
- 2018년04월28日
- 2018年03月04日
- 2018년03월04日
- 2017年09月23日
- 2017년09월23日
- 2017年05月07日
- 2017년05월07日
- 2017年03月05日
- 2017년03월05日
- 2016年10月01日
- 2016년10월01日
- 2016年05月08日
- 2016년05월08日
- 2016年03月05日
- 2016년03월05日
- 2015年10月04日
- 2015년10월04日
- 2015年06月06日
- 2015년06월06日
- 2015年03月07日
- 2015년03월07日
- 2014年10月04日
- 2014년10월04日
- 2014年05月31日
- 2014년05월31日
- 2014年03月09日
- 2014년03월09日
- 2013年10月12日
- 2013년10월12日
- 2013年06月09日
- 2013년06월09日
- 2013年03月17日
- 2013년03월17日
- 2012年10月06日
- 2012년10월06日
- 2012年06月03日
- 2012년06월03日
- 2012年03月11日
- 2012년03월11日
- 2011年09月25日
- 2011년09월25日
- 2011年05月29日
- 2011년05월29日
- 2011年03月13日
- 2011년03월13日
- 2010年10月10日
- 2010년10월10日
- 2010年05月02日
- 2010년05월02日
- 2010年03月14日
- 2010년03월14日
- 2010年02月21日
- 2010년02월21日
- 2009年07月26日
- 2009년07월26日
- 2009年05月10日
- 2009년05월10日
- 2009年03月01日
- 2009년03월01日
- 2008年09月07日
- 2008년09월07日
- 2008年05月11日
- 2008년05월11日
- 2008年03月02日
- 2008년03월02日
- 2007年09月02日
- 2007년09월02日
- 2007年05月13日
- 2007년05월13日
- 2007年03月04日
- 2007년03월04日
- 2006年09月10日
- 2006년09월10日
- 2006年05月14日
- 2006년05월14日
- 2006年03月05日
- 2006년03월05日
- 2005年09月04日
- 2005년09월04日
- 2005年05月29日
- 2005년05월29日
- 2005年03月20日
- 2005년03월20日
- 2005年03月06日
- 2005년03월06日
- 2004年09月05日
- 2004년09월05日
- 2004年05月23日
- 2004년05월23日
- 2004年03月07日
- 2004년03월07日
- 2003年08月31日
- 2003년08월31日
- 2003年05月25日
- 2003년05월25日
- 2003年03月16日
- 2003년03월16日
- 2002年09月08日
- 2002년09월08日
- 2002年05月26日
- 2002년05월26日
- 2002年03月10日
- 2002년03월10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