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기사

2018년04월28일 57번

[임업경영학]
임도 개설을 위하여 투자한 굴삭기의 비용이 3000만원,수명은 5년, 폐기 이후의 잔존가치는 없다고 한다. 이 투자에 의하여 5년 동안 해마다 720만원의 순이익이 있다면 비율이 가장 낮다. 투자이익률은? (단, 감각상각비 계산은 정액법을 적용)

  • ① 36%
  • ② 48%
  • ③ 64%
  • ④ 7%
(정답률: 55%)

문제 해설

임도 개설에 투자한 굴삭기의 총 비용은 3000만원이고, 수명은 5년이므로 매년 600만원의 감가상각비가 발생한다. 따라서 5년 후에는 굴삭기의 잔존가치가 없으므로, 이 투자의 총 비용은 3000+600*5=6000만원이 된다.

해마다 720만원의 순이익이 발생한다고 하므로, 5년 동안의 총 순이익은 720*5=3600만원이 된다.

이제 투자이익률을 계산해보자. 투자이익률은 (총 순이익 ÷ 총 비용) ×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3600÷6000)×100=60%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감각상각비 계산에 정액법을 적용하라고 했으므로, 정액법에 따라 감각상각비를 계산해보자. 정액법은 감각상각비를 일정한 금액으로 가정하고 계산하는 방법이다. 이 경우, 매년 600만원의 감각상각비가 발생하므로, 5년 동안의 총 감각상각비는 600*5=3000만원이 된다.

따라서 순이익에서 감각상각비를 차감한 실질적인 이익은 3600-3000=600만원이 된다. 이제 투자이익률을 다시 계산해보자. (실질적인 이익 ÷ 총 비용) × 100 = (600÷6000)×100=10%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48%"가 아니라 "10%"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