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건축기사 (2008년09월07일 기출문제)

1과목 : 건축계획
1번 도서관 출납시스템의 유형 중 열람자 자신이 서가에서 책을 꺼내어 책을 고르고 그대로 검열을 받지 않고 열람하는 형식은?
2번 공장 건축계획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번 다음 중 병원건축에 있어서 단일 고층건물형식의 유리한점이 아닌 것은?
4번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미술관 전시실의 순회형식은?
5번 사무소건축의 평면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는 것은?
6번 다음의 호텔건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7번 다음 중 익공식(翼工式) 건물은?
8번 사무소 건축의 코어형식 중 구조코어로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9번 다음의 르네상스 건축물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0번 주택의 주방 계획에서 작업과정에 합리적인 작업대 배열의 순서로 가장 적당한 것은?
11번 다음의 주거건축의 세부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2번 종합병원계획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3번 사무소 건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4번 다음 중 방위에 따른 주택의 실배치가 가장 부적당한 것은?
15번 다음의 은행 건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6번 학교건축에 요구되는 융통성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7번 극장건축의 관련 제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8번
다음의 극장계획에 대한 설명 중 ( ) 안에 알맞은 내용은?
19번 다음 중 주택 거실에서 가구배치의 결정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0번 다음 중 서양건축의 변천과정으로 옳은 것은?
2과목 : 건축시공
21번 한중콘크리트의 양생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2번 다음 중 돌라마이트 플라스터 바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번 다음 중 병원 건축물 등에서 방사선 차폐용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는?
24번 레미콘의 규격 [25-24-140]이 각각 의미하는 것은?
25번 얇은 시트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내화학성의 파이프 또는 건축용 성형폼으로도 쓰이는 열가소성 수지는?
26번 다음 중 네트워크 공정표에 사용되는 용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번 웰 포인트 공법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28번
다음 중 건설공사의 입찰 순서로 옳은 것은?
29번 다음 중 도장공사에 관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번 PERT-CPM 공정표 작성시에 EST와 EFT의 계산 방법 중 옳지 않은 것은?
31번 다음 중 사용할 때 마다 부재의 조립, 분해를 반복하지 않아 벽식구조인 아파트 건축물에 적용효과가 큰 대형 벽체 거푸집은?
32번 부어넣을 콘크리트의 최고 높이가 40m, 타워에서 호퍼까지의 수평거리가 20m라면 타워의 산정 높이는?
33번 다음 중 철근의 가스압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4번 커튼월의 Mock Up Test에 있어 기본성능시험의 항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35번 콘크리트공사에서 진동기의 효과가 가장 잘 발휘될 수 있는 콘크리트는?
36번 다음 중 콘크리트 강도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는?
37번 낙관적 시간 a=4, 개연적 시간 m=7, 비관적 시간 b=8 이라고 할 때 PERT 기법에서 적용하는 예상 시간은 얼마인가? (단, 단위는 주)
38번 다음 중 칠공사에서의 철제계단(양면칠) 소요면적 계산으로 옳은 것은?
39번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40번 다음 중 기준점(bench mark)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 건축구조
41번 다음 중 압축재의 좌굴하중 산정시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것은?
42번 강도설계법에서 인장을 받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 ld의 최소값은?
43번
그림과 같이 양단이 고정된 강재 부재의 온도가 △T=30℃ 증가될 때 이 부재에 걸리는 압축응력은 얼마인가? (단, 강재의 탄성계수 Es=2.0×105MPa, 부재단면적 A= 5000mm2, 열팽창 계수α=1.2×10-5/℃ 이다.)
44번 F10T=M20 고력볼트의 1면 허용전단력은 47.1kN이고, 설계볼트장력은 165kN이다. 전단력과 함께 55kN의 인장력이 작용할 때, 이 고력볼트의 허용 전단력은?
45번 강도설계법에서 보를 설계할 때 인장철근비가 균형철근비보다 작게 작용하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46번
강도설계법 적용시 그림과 같은 단근 직사각형보의 최소 철근량은? (단, fck=21MPa, fy=400MPa)
47번
그림과 같은 3회전단 구조물의 반력은?
48번
다음 그림에서 보의 높이 h를 계산하여 지점단면상에 생기는 최대전단응력도를 구하면? (단, 허용휨응력도 fb=9MPa)
49번
그림과 같은 트러스의 C부재의 부재력은? (단, +: 인장, -: 압축)
50번 볼트의 기계적 등급을 나타내기 위해 표시하는 F8T, F10T, F11T에서 가운데 숫자는 무엇을 의 미하는가?
51번 플랫 플레이트 슬래브(flat plate slab)가 큰 하중을 받을때 기둥주변에서는 뚤림전단(punching shear)의 위험이 생기는데 이 뚫림전단을 검토하는 위치로서 가장 적절한 것은? (단, d는 슬래브의 유효두께이다.)
52번 다음 중 내진등급 ‘특’ 등급에 해당되는 건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3번 다음 중 철골구조의 소성설계와 관계 없는 것은?
54번 강도설계법에서 양단 연속 1방향 슬래브의 스팬이 300cm일때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 슬래브의 최소 두께로 옳은 것은? (단, 단위체적질량 wc=2,300kg/m3의 일반콘크리트 및 항복강도 fy=400MPa 철근 사용)
55번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각 부재에 대한 분할 모멘트 MOA, MOB, MOC, MOD를 옳게 구한 것은?
56번 신축건물의 기초파기 중 토질에 생기는 현상과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57번 강재 SM 490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58번 초고층건물의 구조형식 중 건물의 외곽 기둥을 밀실하게 배치하고 일체화하여 초고층 건물을 계획하는 구조형식은?
59번 강도설계법에서 휨 또는 휨과 축력을 동시에 받는 부재의 콘크리트 압축연단에서 극한변형률은 얼마로 가정하는가?
60번
다음 그림과 같은 구조물의 판별로 옳은 것은?
4과목 : 건축설비
61번 주위온도가 일정한 온도 이상이 되면 동작하도록된 열감지기는?
62번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3번 공기조화방식 중 단일덕트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4번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전동기는?
65번 천장면에 작은 구멍을 많이 뚫어 그 속에 여러 형태의 하면개방형, 하면루버형, 하면확산형, 반사형 전구 등의 등기구를 매입하는 건축화 조명 방식은?
66번
다음의 설명에 알맞은 보일러의 출력은?
67번 다음 중 변전실의 위치 결정시 고려할 사항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8번 배관의 보온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9번
샤워기 5개가 설치도어 있는 급수배관의 주 배관경은 얼마인가? (단, 샤워기의 접속배관경은 20mm, 동시사용률은 70%임)
70번 빙축열 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71번 어떤 상태의 공기를 절대습도의 변화없이 건구온도만 상승시킬 때, 그 공기의 상태변화를 나타낸 다음 내용 중 옳은 것은?
72번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 배선 방법은?
73번 다음의 직류 엘리베이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4번 구경 100mm의 관내를 유속 2.0m/s로 물이 흐르고 있을 때 관길이 1m당 마찰저항손실수두는 얼마인가? (단, 관마찰계수는 0.03으로 한다.)
75번 증기난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76번 게이트 밸브라고도 하며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는 대표적인 밸브로서 밸브를 완전히 열면 유체 흐름의 단면적 변화가 없어서 마찰저항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은?
77번 급수방식 중 펌프직송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8번 온수난방에 사용되는 팽창탱크의 기능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79번 냉방부하 중 현열부하로만 작용하는 것은?
80번 양수량 10m3/min, 전양정 10m, 펌프의 효율 η=80% 일 때 펌프의 소요 동력은 얼마인가? (단, 물의 밀도는 1000kg/m3, 여유율은 10%로 한다.)
5과목 : 건축법규
81번 토지이용을 합리화 ㆍ 구체화하고, 도시 또는 농 ㆍ 산 ㆍ 어촌의 기능의 증진, 미관의 개선 및 양호한 환경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립하는 계획으로 정의되는 것은?
82번 공작물을 축조(건축물과 분리하여 축조하는 것을 말한다)하고자 하는 경우 시장 ㆍ 군수 ㆍ 구청장에게 신고를 하여야 하는 대상 공작물이 아닌 것은?
83번 건축법에 따르면 공사감리자는 공사의 공정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진도에 다다른 때에는 감리중간보고서를 작성하여 건축주에게 제출하여야 하는데, 다음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진도에 다다른 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4번 다음 중 용도별 건축물의 종류가 옳지 않은 것은?
85번
다음의 기계식주차장치의 안전기준에 관한 내용중 ( )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치수는?
86번 다음 주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여야 하는 대상 건축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87번 다음 중 건축법상의 숙박시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88번 다음 중 건축물식 노외주차장의 차로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89번
다음과 같은 조건에서 피난층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바깥쪽으로의 출구의 유효너비의 합계는 최소 얼마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90번 건축허가 대상 건축물이라 하더라도 신고를 함으로써 건축허가를 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91번 다음 중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광역시설에 속하지 않는 것은? (단, 2 이상의 특별시 ㆍ 광역시 ㆍ 시 또는 군이 공동으로 이용하는 시설)
92번 하나의 대지에 일반주거지역 400m2, 일반상업지역 300m2, 준주거지역 350m2가 걸쳐 있을 경우, 이 대지는 어떠한 용도지역에 관한 규정이 적용되는가?
93번
다음은 비상승용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에 관한 기준 내용이다. ( )안에 알맞은 것은?
94번 다음 중 비상용승강기 승강장의 구조에 관한 기준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95번 가구수가 16가구인 주거용 건축물에서 음용수 급수관 지름의 최소 기준은?
96번 문화 및 집회시설 중 공연장의 개별관람석 바닥면적이 1,500m2일 경우 개별관람석 출구는 최소 몇개소 이상 설치하여야 하는가? (단, 각 출구의 유효너비를 2m로 하는 경우)
97번
부설주차장이 주차대수 300대의 규모 이하인 때에는 시설물의 부지인근에 단독 또는 공동으로 부설주차장을 설치할수 있다. 이 경우 부지인근의 범위에 관한 다음 기준 내용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98번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기반시설 중 자동차 정류장의 구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99번
다음의 노외주차장의 구조 및 설비기준에 관한 내용 중 ( ) 안에 알맞은 것은?
100번 다음 중 내화구조에 속하지 않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