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산업기사

2016년10월01일 72번

[건축설비관계법규]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의 층수 및 높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 ① 10층 이상(지하층을 포한한다)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40m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 ② 20층 이상(지하층을 포한한다)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80m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 ③ 30층 이상(지하층을 포한한다)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m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 ④ 40층 이상(지하층을 포한한다)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60m 이상인 특정소방대상물
(정답률: 80%)

문제 해설

특정소방대상물은 대형 건물 중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건물로, 이 중에서도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가장 위험한 등급에 해당합니다. 이러한 건물은 높이가 높거나 층수가 많은 경우 화재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보다 엄격한 안전 관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30층 이상(지하층을 포함)이거나 지상으로부터 높이가 120m 이상인 건물이 특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로 분류됩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