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2019년04월27일 1번

[소방원론] 목조건축물의 화재 진행상황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화원-발연착화-무염착화-출화-최성기-소화
  • ② 화원-발염착화-무염착화-소화-연소낙하
  • ③ 화원-무염착화-발염착화-출화-최성기-소화
  • ④ 화원-무염착화-출화-발염착화-최성기-소화
(정답률: 85%)

문제 해설

목조건축물의 화재 진행상황은 일반적으로 화원 → 무염착화 → 발염착화 → 출화 → 최성기 → 소화 순서로 진행됩니다.

- 화원: 화재가 발생하면 가장 먼저 연기와 열이 발생하는 구간입니다.
- 무염착화: 연소체와 산소가 충분히 혼합되어 연소가 일어나는 상태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아직 불꽃이 나지 않습니다.
- 발염착화: 무염착화 상태에서 연소체와 산소가 충분히 혼합되면 불꽃이 발생하며, 연소가 더욱 활발해집니다.
- 출화: 발염착화 상태에서 연소체가 불꽃에 의해 연소되면서 열과 가스가 방출되는 상태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이미 화재가 큰 규모로 발생한 것입니다.
- 최성기: 출화 상태에서 화재가 최대 규모에 도달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화재가 더 이상 확대되지 않고, 일정한 크기를 유지합니다.
- 소화: 최성기 이후에는 화재가 진압되어 소화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불꽃이 꺼지고, 연기와 열도 점차 감소합니다.

따라서, "화원-무염착화-발염착화-출화-최성기-소화"가 옳은 답입니다.
이전 문제
다음 문제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