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2015년08월16일 33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설비관리 책임자 A는 동종 업종의 TPM 추진사례를 벤치마킹하여 설비관리 효율화를 꾀하고자 한다. 설비관리 효율화 중 작업자 본인이 직접 운전하는 설비의 마모율 저하를 위하여 설비의 윤활관리를 일상에서 직접 행하는 활동과 가장 관계가 깊은 TPM 추진단계는?

  • ① 개별개선활동단계
  • ② 자주보전활동단계
  • ③ 계획보전활동단계
  • ④ 개량보전활동단계
(정답률: 74%)

문제 해설

자주보전활동단계는 설비의 일상적인 윤활, 청소, 조정 등을 통해 설비의 마모율을 저하시키지 않도록 관리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작업자 본인이 직접 운전하는 설비의 윤활관리를 일상에서 직접 행하는 활동과 가장 관계가 깊으며, 설비관리 효율화를 위해 이 단계를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별개선활동단계는 특정 문제점을 개선하는 활동, 계획보전활동단계는 정기적인 점검과 보수를 계획적으로 수행하는 활동, 개량보전활동단계는 설비의 성능을 개선하는 활동을 의미한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