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2015년08월16일 67번

[전기위험방지기술]
내측원통의 반경이 r 이고 외측원통의 반경이 R인 원통간극(r/R-1(=0.368))에서 인가전압이 V인 경우 최대 전계 이다. 인가전압을 간극 간 공기의 절연파괴전압 전까지 낮은 전압에서 서서히 증가할 때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최대전계가 감소한다.
  • ② 안정된 코로나 방전이 존재할 수 있다.
  • ③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 ④ 내측원통 표면부터 코로나 방전 발생이 시작된다.
(정답률: 55%)

문제 해설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라는 보기가 틀린 것이다.

내측원통과 외측원통 사이의 간극에서 인가전압이 증가하면, 간극 내부의 전기장이 강해져서 공기 분자들이 이온화되어 양극과 음극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이온화된 공기 분자들이 충돌하면서 코로나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되면 간극 내부의 전기장이 분산되어서 코로나 방전이 안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최대전계가 감소하고 안정된 코로나 방전이 존재할 수 있다는 보기는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라는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되면 간극 내부의 전기장이 분산되어서 코로나 방전이 안정적으로 발생할 수 있게 되지만, 이는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되는 효과"가 아니라 "외측원통의 반경이 증대됨으로써 발생하는 효과"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