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영역)

2015년11월12日 17번

[과목 구분 없음]
라이헨바흐의 논증에 대한 평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22번 공통지문 문제)

  • ① 귀납이 지닌 논리적 허점을 완전히 극복한 것은 아니라는 비판의 여지가 있다.
  • ② 귀납을 과학의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음을 지지하려는 목적에서 시도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 ③ 귀납과 다른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 경험적 판단과 논리적 판단을 모두 활용한 것이 특징이다.
  • ④ 귀납과 견주어 미래 예측에 더 성공적인 방법이 없다는 판단을 근거로 귀납의 가치를 보여 주고 있다.
  • 귀납이 현실적으로 옳은 추론 방법임을 밝히기 위해 자연의 일양성이 선험적 지식임을 증명한 데 의의가 있다.
(정답률: 17%)

문제 해설

"귀납이 현실적으로 옳은 추론 방법임을 밝히기 위해 자연의 일양성이 선험적 지식임을 증명한 데 의의가 있다."는 적절하지 않은 평가이다. 이는 라이헨바흐의 논증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며, 자연의 일양성이 선험적 지식임을 증명하는 것이 귀납의 옳음을 증명하는 것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