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영역)

2015년11월12日 30번

[과목 구분 없음]
<보기>를 바탕으로 (가)와 (나)를 감상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40번 공통지문 문제)

  • ① (가)에서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은 기반이 굳건하고 기원이 유구하다는 뜻을 내세워 왕조를 송축하는 표현이겠군.
  • ② (가)에서 ‘경천근민’의 덕목을 부각하여 왕에 대해 권계한 것은 ‘대부’로서의 정치적 의식을 드러낸 것이군.
  • ③ (나)에서 ‘한가’하게 ‘소일’하는 개인적 삶도 임금의 은혜 덕분이라고 표현한 데서 정치적 성격을 엿볼 수 있군.
  • ④ (나)에서 ‘강파’, ‘바람’ 등의 자연물과 ‘소정’, ‘그물’ 등의 인공물의 대립은 ‘사’와 ‘대부’라는 정체성 사이에서 고뇌하는 모습을 드러내는군.
  • (가)의 ‘한강 북녘’은 새 왕조의 터전이라는 정치적 의미를 지니고, (나)의 ‘강호’는 개인적, 정치적 의미를 모두 지니고 있겠군.
(정답률: 8%)

문제 해설

"(가)에서 ‘뿌리 깊은 나무’와 ‘샘이 깊은 물’은 기반이 굳건하고 기원이 유구하다는 뜻을 내세워 왕조를 송축하는 표현이겠군."은 적절한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나)에서"에 대한 설명이지만, 이 보기는 "(가)에서"에 대한 설명이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