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국어영역)

2015년11월12日 7번

[과목 구분 없음]
다음 ㉠~㉤에서 일어나는 음운 변동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3점]

  • ① ㉠, ㉡ : ‘ㅎ’과 다른 음운이 결합하여 한 음운으로 축약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 ② ㉠, ㉢, ㉤ : 앞 음절의 종성에 따라 뒤 음절의 초성이 된소리로 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 ③ ㉢, ㉣ : ‘깊다 → [깁따]’에서처럼 음절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이 7개로 제한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 ④ ㉣ : ‘겉모양 → [건모양]’에서처럼 앞 음절의 종성이 뒤 음절의 초성과 조음 위치가 같아지는 현상이 일어난다.
  • ㉣, ㉤ : ‘앉고 → [안꼬]’에서처럼 받침 자음의 일부가 탈락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정답률: 10%)

문제 해설

㉢, ㉣ : ‘깊다 → [깁따]’에서처럼 음절 끝에서 발음되는 자음이 7개로 제한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는 한글의 자음 조합 규칙 중 하나인 받침 자음 규칙에 따라 발생하는 것으로, 받침 자음은 최대 7개까지만 올 수 있기 때문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