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2012년03월04일 28번

[농림해충학]
우리나라 산림해충의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 ① 우리나라 산림해충의 생물적 방제 사례로 솔잎혹파리 방제가 있다.
  • ② 생물적 방제는 해당 생태계가 주변 생태계로부터 격리 되어 있을 때 성공 확률이 높다.
  • ③ 생물적 방제의 전제는 생태계에서 천적이 존재한다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경제적 피해 수준이하로 조절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천적이 존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 ④ 산림 생태계내 군집이 초기형성단계에 있거나 계속적으로 초기단계로 환원되는 경우, 표적해충군의 밀도 조절에 영향하는 천적개체군의 안정적 조절능력이 향상되어 해충의 밀도억제가 용이하다.
(정답률: 57%)

문제 해설

생물적 방제는 해당 생태계가 주변 생태계로부터 격리 되어 있을 때 성공 확률이 높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생물적 방제는 생태계 내부에서 천적과 표적해충의 상호작용을 통해 밀도 조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태계가 격리되어 있지 않아도 효과를 볼 수 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