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2012년03월04일 67번

[농약학]
교차저항성(cross resistanc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동일한 작용기작을 가진 약제군 사이에는 그 중 1개의 약제에 저항성을 지니게 된 균은 같은 군의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가진다.
  • ② 작용점이 여러 개인 약제에 대하여 2가지 작용점 이상에 대하여 저항을 획득하면 그 균은 교차저항성을 획득하였다고 한다.
  • ③ 베노밀(benomyl)과 톱신-M(Topsin-M)의 경우 화학구조가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저항성의 획득도 다른 기작을 따른다.
  • ④ 저항성균이 한 지역에 발생하여 다른 지역으로 이동되었을 때, 이동된 지역에서도 저항성을 유지하는 것을 교차저항성이라 한다.
(정답률: 81%)

문제 해설

"동일한 작용기작을 가진 약제군 사이에는 그 중 1개의 약제에 저항성을 지니게 된 균은 같은 군의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저항성을 가진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는 약제군 내에서 유사한 작용기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약제에 대한 저항성이 다른 약제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차저항성은 항생제 등의 약제 사용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

진행 상황

0 오답
0 정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