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2020年05月24日 63번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수치 데이터의 표현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 ① 수치 데이터를 표현할 때는 부호, 크기, 소수점 등으로 표시하는데 소수점은 고정소수점 표현방식과 부동소수점 표현방식이 있다.
  • ② 고정소수점 방식에서 정수는 소수점이 수의 맨 왼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고, 소수는 소수점이 맨 오른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다.
  • ③ 소수점의 위치가 어느 한 곳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는 것을 고정소수점 방식이라 한다.
  • ④ 고정소수점 방식은 주로 정수로 표현하는데 사용된다.
(정답률: 67%)

문제 해설

고정소수점 방식에서 정수는 소수점이 수의 맨 왼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이고, 소수는 소수점이 맨 오른쪽 끝에 있다고 가정한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고정소수점 방식에서는 소수점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만, 정수와 소수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23.45를 고정소수점 방식으로 표현할 때는 소수점을 두 자리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12345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정소수점 방식에서는 정수와 소수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