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설비산업기사

2020年06月27日 68번

[전자계산기 일반 및 무선설비기준]
CPU에서 처리되는 작업 중 메모리 장치 접근에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여,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커지는 현상은?

  • ① 워킹 세트(Working set)
  • ② 세마포어(Semaphore)
  • ③ 교환(Swapping)
  • ④ 스레싱(Thrashing)
(정답률: 70%)

문제 해설

스레싱(Thrashing)은 CPU에서 처리되는 작업 중 메모리 장치 접근에 지나치게 페이지 폴트가 발생하여, 프로세스 수행에 소요되는 시간보다 페이지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이 더 커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워킹 세트(Working set)의 크기가 메모리에 부족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세마포어(Semaphore)는 프로세스 간의 동기화를 위한 도구이며, 교환(Swapping)은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프로세스 중 일부를 디스크로 옮기는 작업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들은 스레싱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