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2020년09월26일 36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신호검출이론(SDT)의 판정결과 중 신호가 없었는데도 있었다고 말하는 경우는?

  • ① 긍정(hit)
  • ② 누락(miss)
  • ③ 허위(false alarm)
  • ④ 부정(correct rejection)
(정답률: 86.99%)

문제 해설

정답은 **③ 허위(false alarm)**입니다.

신호검출이론(SDT)은 신호의 존재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분석하는 이론입니다. SDT에서 신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호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누락(miss)**이라고 하고, 신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호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를 **허위(false alarm)**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신호검출이론(SDT)의 판정결과 중 신호가 없었는데도 있었다고 말하는 경우는 **허위(false alarm)**입니다.

다른 답안의 경우,

* **① 긍정(hit)**은 신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호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입니다.
* **② 누락(miss)**은 신호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호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입니다.
* **④ 부정(correct rejection)**은 신호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신호가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신호검출이론(SDT)의 판정결과 중 신호가 없었는데도 있었다고 말하는 경우는 **허위(false alarm)**입니다.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