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2022년04월24일 29번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설계지침으로 틀린 것은?

  • ①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한다.
  • ②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진동수의 신호를 사용한다.
  • ③ 귀는 중음역에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 ④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
(정답률: 70.0%)

문제 해설

정답은 **4번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입니다.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설계지침은 다음과 같습니다.

*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한다.**
*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진동수의 신호를 사용한다.**
* **귀는 중음역에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따라서,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는 잘못된 설계지침입니다.

장거리용 경계 및 경보신호는 일반적으로 500Hz 이하의 저주파를 사용합니다. 이는 저주파가 공기 중에서 잘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1000Hz 이상의 고주파는 공기 중에서 잘 전달되지 않아, 장거리용 경계 및 경보신호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계 및 경보신호의 설계지침으로 틀린 것은 **4번 300m 이상의 장거리용으로는 1000Hz를 초과하는 진동수를 사용한다.**입니다.

해설을 더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경계 및 경보신호**
*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을 알리기 위한 신호
* 주의를 환기시키고,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 사용

* **설계지침**
*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하여 변조된 신호를 사용한다.
* 배경소음의 진동수와 다른 진동수의 신호를 사용한다.
* 귀는 중음역에 민감하므로 500~3000Hz의 진동수를 사용한다.

* **저주파의 장점**
* 공기 중에서 잘 전달됨
* 장거리까지 전달 가능

* **고주파의 단점**
* 공기 중에서 잘 전달되지 않음
* 장거리까지 전달 불가능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