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기사 (2005년05월29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발병억제토양이 가지고 있는 발병 억제력의 가장 주된 실체는?
2번
사람이나 가축에 독작용을 나타내는 식물병원균은?
3번
오이 노균병의 설명 중 틀리는 내용은?
4번
다음 중 식물병과 제 1차전염원이 바르게 짝지워진 것은?
5번
토마토 잎곰팡이병 방제방법으로 맞지 않는 내용은?
6번
형광항체법을 이용하는 식물병 진단방법은?
7번
다음 중 나머지 셋과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8번
잣나무 털녹병균의 중간 기주는?
9번
고추 열매에 검은색의 작은 알갱이들이 동심윤문을 그리며 만들어지고, 습도가 높을 때 그 위에 분홍색 계통의 점액이 분비되는 병은?
10번
포도나무 새눈무늬병(흑두병)균의 월동상태는?
11번
벼 오갈병을 매개하는 곤충으로만 된 것은?
12번
저장 중의 감자가 썩어서 병원균을 Gram 염색하여 본 결과 Gram 양성이었다. 본 병균은 무엇인가?
13번
담배 모자이크병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진단에 쓰이는 지표 식물은?
14번
배나무 검은무늬병의 기주특이적 독소는?
15번
배추 무사마귀병의 방제법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6번
감자 역병균의 학명은?
17번
사과나무 근두암종병의 발병유인과 방제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8번
병원이 파이토플라스마가 아닌 병은?
19번
벼 흰잎마름병의 방제법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20번
초승달 모양의 대형 분생포자를 형성하는 병원균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다음 중 해충과 천적이 가장 부적절하게 연결된 것은?
22번
살충제를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려고 한다. 다음 중 어느 시기에 방제하여야 하는가?
23번
곤충의 외부구조를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24번
일반적인 곤충의 소화계 중 전장에 속하는 소화계는?
25번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 중 틀린 것은?
26번
하우스 딸기의 종합적 해충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적합지 않은 것은?
27번
야행성 곤충의 활동주기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은?
28번
다음 진딧물의 생식방법을 기술한 것 중 옳은 것은?
29번
곤충은 부적합한 환경조건이 되면 발육을 일시 정지하고 휴면을 한다. 다음 중 휴면을 유발시키는 요인이 아닌 것은?
30번
곤충의 대사작용에 관한 설명 중 내용이 틀린 것은?
31번
4령충을 알맞게 설명한 것은?
32번
성충과 유충이 모두 잎을 가해하는 해충은?
33번
곤충은 대부분 2쌍의 날개를 가지고 있다. 뒷날개가 주걱 모양으로 퇴화되어 앞날개 1쌍만을 가지고 비행하는 이 곤충은?
34번
어떤 곤충이 잠재적 포식자와 마주쳤을 때 방출하는 방어 물질은 어느 것인가?
35번
복숭아혹진딧물에 대한 설명으로 적당치 않은 것은?
36번
해충 조사법 중 잘못 연결된 것은?
37번
우리나라에서 월동을 하는 해충은?
38번
산림해충의 화학적 방제법 중 천적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방법은?
39번
기계유(機械油) 유제(乳劑)의 작용특성을 알맞게 설명한 것은?
40번
다음 곤충의 배설계에 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다음 중 연작시 작물과 토양전염의 병해와의 짝이 잘못된것은?
42번
좌지현상(hivernalization)을 볼 수 있는 경우는?
43번
목초의 하고현상을 일으키는 유인(誘因)은?
44번
감자, 양파의 경우 발아를 억제시키는 방법으로 가장 옳은 것은?
45번
합성 품종에 대하여 잘못 기술한 것은?
46번
작물 품종의 잡종강세에 대하여 옳게 기술한 것은?
47번
종자갱신(種子更新)의 채종체계로 맞는 것은?
48번
벼의 생육단계에서 냉해에 가장 약한 시기는?
49번
연작 장해가 가장 큰 작물은?
50번
노후화답(老朽化畓)의 재배대책으로 가장 효과가 적다고 인정되는 것은?
51번
다음의 수식에서 ( )에 해당되는 것은?
52번
토양산성화 원인 중 미포화교질(unsaturated colloid)과 관계 깊은 것은?
53번
자가불화합성을 보이는 작물은?
54번
식물의 굴광현상에 가장 유효한 광파장은?
55번
재배적 견지에서 유전형질이 균일하고 영속적인 개체들의 집단을 일컫는 것은?
56번
병충해 방제에 있어서 경종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
57번
작물의 내건성에 대하여 옳게 기술한 것은?
58번
윤작을 하면 어떤 병을 방제할 수 있는가?
59번
벼재배에서 이삭거름의 시용적기는?
60번
같은 벼품종의 쌀이라도 평야지 보다 산간지에서 생산된 것이 더욱 잘 여물어서 밥맛이 좋다고 한다. 가장 주된 이유는?
4과목 : 농약학
61번
농약의 약효보증기간 동안 유효성분의 분해를 방지 또는 억제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물질은?
62번
해충의 신체 골격을 이루는 키틴(chitin) 생합성을 저해하여 살충작용을 나타내는 것은?
63번
45% 의 EPN 유제(비중 1.0) 200㏄를 0.3% 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64번
유기인제 중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5번
다음 중 신경화학전달물질인 ACh를 분해하는 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AChE)의 활성작용을 저해하여 곤충을 죽게 하는 농약이 아닌 것은?
66번
농약을 희석액으로 살포에 의하지 않고 농약의 유효성분을 병충해 등 서식부위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하는 사용방법이 아닌 것은?
67번
미생물 농약의 특성이 아닌 것은?
68번
다음 중 훈증제가 아닌 농약은?
69번
농약 제품포장지의 표기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0번
메타유제(상표명:메타시스톡스)와 혼용해도 무방한 것은?
71번
식물성 살충제로서 온혈동물(溫血動物)에는 독성이 없는 농약은?
72번
식물생장 억제제로서 낙과 방지제가 될 수 있는 것은?
73번
다음 농약 중 그 작용 주체가 수은인 것은?
74번
농약의 사용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번
농약 제형 중 직접 살포제가 아닌 것은?
76번
다음 중 살선충제가 아닌 것은?
77번
입상수화제 제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8번
Zineb 제는 다음 중 어떤 화합물 인가?
79번
농약의 입제(粒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0번
12% 다수진분제 1㎏ 을 2% 다수진분제로 만들려면 소요 되는 증량제의 양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영양번식 기관이 괴경(塊莖)이 아닌 다년생잡초는?
82번
방제 측면에서 잡초문제는 병, 해충문제와는 차이가 있다. 다음 중 잡초문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83번
식물의 경합 중 가장 피해가 큰 경합은?
84번
종자 자체의 조성이나 구조에 기인하여 발아하지 못하는 경우의 휴면을 무엇이라 하는가?
85번
잡초의 유용성에 대해 해당되지 않는 것은?
86번
다음 잡초 중 암발아 잡초종은?
87번
피의 형태적 특징 중 옳은 것은?
88번
2.4-D의 작용 특성을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89번
포장에서 제초제 저항성 잡초 유발을 낮추기 위하여 농민들이 노력해야 할 일들 중 적합한 것으로만 묶여진 것은?
90번
다음 논잡초 중에서 부유성잡초는?
91번
여름 작물 밭에 발생하는 우점초종은?
92번
두 종류의 제초제를 혼합처리시의 반응이 단독처리시의 큰쪽의 반응보다 작을 때 두 약제간에는 어떤 작용이 있다고 하는가?
93번
잡초에 대한 벼의 경합력을 높이는 재배 방법은?
94번
같은 조건하에서도 일시적으로 발아를 중지하고 휴면의 형태를 취하여 부적격 환경을 극복하려는 종자의 발아습성을 무엇이라 하는가?
95번
열처리나 침수처리 등의 잡초방제방법을 무슨 방제법이라고 하는가?
96번
벼와 광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 ?
97번
제초제 중에서 식물의 백화 증상을 유발시키는 약제가 있는데 이런 증상이 유도되는 이유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98번
종합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99번
논제초제의 사용시 약해발생 요인으로서 맞는 것은?
100번
유기제초제 중 세계적으로 가장 먼저 개발된 제초제 계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