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2021년09월12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하는 배추 무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번
벼 도열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병은?

4번
파이토플라스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번
병원균이 기주교대를 하는 이종기생균은?
6번
다음 중 벼에서는 가장 잘 발생하지 않는 병은?
7번
식물병을 일으키는 곰팡이 중에서 균사에 격막이 없는 병원균으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8번
마름무늬매미충(모무늬매미충)에 의해 전반되지 않는 병은?
9번
붕소가 부족하여 사과나무에서 발생하는 병은?
10번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작은 것은?
11번
병원균이 담자기와 담자 포자를 형성하는 것은?
12번
다음 중 곰팡이(fungi)의 특징이 아닌 것은?
13번
식물병원 세균 중 육즙한천배양기 상에서 황색 균총을 형성하는 것은?
14번
하우스 재배하는 채소에서 과습과 저온에 많이 발생하는 병은?
15번
다음 중 크기가 가장 작은 식물 병원체는?
16번
병원균이 불완전세대로 Pyicularia grisea(P. oryzae)인 식물병은?
17번
1차 전염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8번
오이류 덩굴쪼김병의 방제법으로 가장 효과가 낮은 것은?
19번
벼 키다리병의 병징 형성 원인으로 병원균이 분비하는 주요 호르몬은?
20번
다음 중 감자 Y 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층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누에의 성장단계에서 어미가 생성하는 휴면호르몬이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휴면단계는?
22번
앞날개가 경화되어 있는 곤충은?
23번
윤작과 혼작을 통하여 방제효과를 효과적으로 볼 수 있는 해충의 특성은?
24번
곤충의 유충 발육 단계에서 다음 령기의 유충으로 탈피하는 경우는?

25번
내충성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26번
살충제 처리 후 무처리구의 생충율이 90% 이고, 처리구의 생충율이 22.5% 일 경우 처리구의 보정 사충율은?
27번
해충방제에 사용되는 천적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8번
사과잎말이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번
다음 해충 중 기주 범위가 가장 좁은 것은?
30번
다음 중 토양해충인 것은?
31번
자연생태계와 비교할 때 농생태계의 특징은?
32번
곤충의 성비(sex ratio)의 공식으로 옳은 것은?
33번
페로몬의 역할이 아닌 것은?
34번
곤충의 혈림프를 구성하는 혈구의 기능이 아닌 것은?
35번
특정 지역의 해충 밀도를 추정하고자 할 때 비교적 많은 표본수가 요구되는 해당 해충의 분포양식은?
36번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해충 중 외래종이 아닌 것은?
37번
살충제가 곤충의 체내로 침투하는 주요 경로가 아닌 것은?
38번
종합적해충방제에서 방제를 실시해야 되는 해충의 밀도수준은?
39번
수입식물 검역과정에서 금지병해충이 발견되었을 경우 취하는 조치로 맞는 것은?
40번
복숭아심식나방의 발생예찰에 이용되는 페로몬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다음 중 작물 생육 필수원소에서 다량으로 소요되는 원소가 아닌 것은?
42번
토양 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3번
다음 중 질소질 비료가 아닌 것은?
44번
식물의 진화와 관련하여 작물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5번
다음 논의 용수량(Q) 계산식에서 A에 해당하는 것은?

46번
신품종이 기본적으로 구비해야 하는 특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번
강산성 토양에서 가급도가 감소하여 작물생육에 부족하기 쉬운 원소가 아닌 것은?
48번
벼 생육기간 중 냉해에 가장 약한 시기는?
49번
다음 중 연작의 피해가 가장 작은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50번
순3포식 농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1번
다음 중 과수의 핵과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52번
발아 최저온도가 가장 낮은 작물은?
53번
토양이나 수질 오염을 통하여 인체에 중금속 중독을 초래하며 이타이이타이병이 나타나는 것은?
54번
다음 중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수분은?
55번
서로 도움이 되는 특성을 지닌 두 가지 작물을 같이 재배할 경우 이 두 작물을 일컫는 가장 적절한 용어는?
56번
다음 중 벼의 수해를 크게 하는 조건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57번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적은 작물은?
58번
침관수 피해에 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9번
다음 중 작물재배 시 부족하면 수정·결실이 나빠지는 미량원소는?
60번
다음 중 C4 작물은?
4과목 : 농약학
61번
약효지속시간이 길어야 하는 보호살균제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보호살균제 살포액의 가장 중요한 물리적 특성은?
62번
수화제(Wettable Powder; WP)에 주로 사용되는 증량제는?
63번
농약의 독성과 관련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64번
비교적 지효성이고 화학적인 안정성이 크며 약효기간이 긴 특성을 가지고 있는 유기인계 살충제는?
65번
농약의 약효를 최대로 발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6번
농약에서 계면활성제의 작용으로 거리가 먼 것은?
67번
살충제를 작용기작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8번
농용항생제가 아닌 것은?
69번
항생제 계통의 살균제인 streptomycin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0번
농약 독성의 발현속도(시기)에 따른 구분은?
71번
농약의 분자구조 중 H2N-CO-NH2 골격을 가진 농약 계열은?
72번
농약관리법령상 농약과 농약의 포장지에 포함되어야 할 표시사항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73번
유기인제에 중독되었을 때 주로 사용되는 해독제는?
74번
해충의 신체 골격을 이루는 키틴(chitin)의 생합성을 저해하는 살충제의 작용기작은?
75번
60kg 농작물에 50% 유제를 사용하여 원제의 농도가 8mg/kg작물이 되도록 처리하려고 할 때 소요 약량(mL)은? (단, 약제의 비중은 1.07 이다.)
76번
45% EPN 유제 200mL를 0.3%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mL)은? (단, 유제의 비중은1.0 이다.)
77번
농약의 품질불량의 원인이 되어 약해를 일으키는 경우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8번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ADI) 설정식으로 옳은 것은? (단, NOAEL은 No Observable Adverse Effect Level, MRL은 Maximum Residue Limit의 약어이다.)
79번
유기인제 살충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0번
수면시용법(水面施用法)으로 살포하는 약제가 갖추어야 할 특성으로 틀린 것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주로 논이나 습지에 발생하는 화본과 다년생 잡초는?
82번
다음 중 잡초종합방제체계 수립을 위한 선형특성적 모형에서 시작부터 완성단계로의 순서가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83번
제초제의 살초형태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4번
잡초를 형태학적으로 분류할 때 관계없는 것은?
85번
수용성이 아닌 원제를 아주 작은 입자로 미분화시킨 분말로 물에 분산시켜 사용하는 제초제의 제형은?
86번
광합성을 억제하는 계통의 제초제가 아닌 것은?
87번
다음 중 일년생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88번
제초제의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물리적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9번
다음 중 광엽 잡초로만 나열한 것은?
90번
다음 중 잡초의 유용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1번
잡초종자의 발아 습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92번
식물영양소 중 작물과 잡초에 가장 많이 요구되는 영양소들로만 나열된 것은?
93번
다음 중 주로 괴경으로 번식하는 논잡초는?
94번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95번
다음 중 잡초경합 한계기간이 가장 긴 작물은?
96번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 관여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7번
다음 중 선택성 제초제는?
98번
다음 중 암발아 잡초 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99번
잡초의 번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0번
다음 중 외래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연도별
- 2022년04월24일
- 2022년03월05일
- 2021년09월12일
- 2021년05월15일
- 2021년03월07일
- 2020년09월26일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9월21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9월15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9월23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10월0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9월19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9월20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9월2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9월15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10월02일
- 2011년06월12일
- 2010년09월05일
- 2010년03월07일
- 2009년08월30일
- 2009년05월10일
- 2009년03월01일
- 2008년09월07일
- 2008년05월11일
- 2008년03월02일
- 2007년09월02일
- 2007년05월13일
- 2007년03월04일
- 2006년09월10일
- 2006년05월14일
- 2006년03월05일
- 2005년09월04일
- 2005년05월29일
- 2005년03월06일
- 2004년09월05일
- 2004년05월23일
- 2004년03월07일
- 2003년08월31일
- 2003년05월25일
- 2003년03월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