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기사 (2015년03월08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2번
병든 보리, 밀을 먹는 사람과 돼지 등에 심한 중독을 일으키는 병해는?
3번
파이토플라즈마에 의한 수목병인 뽕나무 오갈병의 치료제로 주로 쓰이는 것은?
4번
묘포장에서 어린 묘목에 피해를 입히는 원인이 아닌 것은?
5번
매개충에 의해 경란 전염하는 바이러스 병해는?
6번
과수의 자주날개무늬병균은 분류학적으로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7번
벼 흰잎마름병균은 주로 어디에서 월동하여 제1차 전염원이 되는가?
8번
식물바이러스병의 생물학적 진단법은?
9번
순활물기생균(절대기생균)의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번
저항성 품종을 이용한 방제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은?
11번
식물병의 면역학적 진단 방법을 의미하는 용어는?
12번
배추 모자이크병의 주요 매개 곤충은?
13번
병원균이 포도 탄저병균(Glomerella cingulata)과 같은 것은?
14번
Aspergillus flavus가 생산하는 균독소는?
15번
오이 세균성점무늬병균이 증식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체내 부위는?
16번
식물병 발생에 필요한 3대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7번
식물병원체인 균류의 영양기관은?
18번
십자화과 작물에 발생하는 배추무 사마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19번
오이 모자이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번
향나무 녹병의 방제법으로 효과적이지 않은 것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월동하지 않고 매년 중국 남부로부터 비래 해오는 해충은?
22번
사과면충은 분류상 어느 목에 속하는가?
23번
작물의 재배시기를 조절하여 해충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24번
곤충의 순환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5번
먹이를 빠는 형의 입틀을 가진 것은?
26번
방사선 불임법을 이용하는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27번
복관(collophore)을 갖고 있는 곤충은?
28번
다음 중 가장 늦게 우리나라에 들어온 해충은?
29번
사과굴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0번
다음 중 호흡계의 기문 수가 가장 적은 곤충은?
31번
마늘 수확 후에도 피해를 주는 해충은?
32번
벼 오갈병을 매개하는 해충은?
33번
작용기작에 따른 살충제 분류에서 신경정보전달 교란에 의한 저해제에 속하는 것은?
34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살충제는?
35번
배추흰나비가 십자화과 채소에만 알을 낳는 이유는?
36번
곤충의 발육과 온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7번
학명을 기재할 때 사용하는 것은?
38번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39번
벼룩잎벌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0번
솔잎혹파리의 생태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벼에서 냉해에 의하여 발생이 많아지는 병해는?
42번
다음 시료의 순활종자(Pure Live Seed)는?
43번
벼 종자의 파종 깊이에 따른 발아특성을 잘못 설명한 것은?
44번
다음 중 작물재배 시 부족하면 수정 및 결실이 나빠지는 미량원소는?
45번
잡초의 특징이 아닌 것은?
46번
2년생 작물은 어느 것인가?
47번
맥류의 도복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8번
작물의 수해(水害)에 대하여 가장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49번
시설재배의 환경특이성을 옳게 설명한 것은?
50번
형태적 특성에 의한 검사 중 종자의 특성 조사항목이 아닌 것은?
51번
육묘하여 이식하는 필요성과 거리가 먼 것은?
52번
다음 중 목초의 하고대책이 아닌 것은?
53번
토양을 보호하여 침식을 막는 효과를 가진 작물은?
54번
엽록소의 구성원소로서 결핍시 잎에서 황백화 현상이 나타나는 무기성분은 무엇인가?
55번
온도와 작물의 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56번
작물의 내동성에 관한 설명이 바른 것은?
57번
작물분류 시 용도에 따라 사용하는 명칭은?
58번
딸기나 들깨 잎에 장일조건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LED 등은 무슨 색 광인가?
59번
경운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60번
대표적인 구황작물로서 과거 가뭄이 심한 해에 흔히 이용되었던 것은?
4과목 : 농약학
61번
입제의 제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62번
사용목적에 따른 살충제 농약의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3번
다음 중 농약의 분류상 맞지 않는 조합은?
64번
다음 중 제초제를 처리방법에 따라 분류한 것은?
65번
다음 중 약해의 원인이 아닌 것은?
66번
농약잔류허용기준(MRL)을 설정하는데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67번
농약 중독 시 응급처치 요령이 아닌 것은?
68번
농약 살포액의 약액 입자가 가장 작은 살포방법은?
69번
다음 중 살선충제로 사용되는 약제는?
70번
다음 농약 중 유기인계 살균제인 것은?
71번
유제(乳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2번
입상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는 것은?
73번
잡초방제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Glyphosate 액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4번
살포액 조제 시 고려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번
보르도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76번
리바이지드 50% 유제를 1000배로 희석하여 10a 당 180L를 살포하려 할 때, 리바이지드 50% 유제의 소요량은?
77번
농약의 제형 중,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 해당되니 않는 것은?
78번
다음 중 과실의 착색, 숙기촉진을 위해서 사용하는 약제는?
79번
농약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80번
농용항생제로서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이 아닌것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잡초의 전파 방법 중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잡초는?
82번
잡초의 밀도가 증가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되고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이 수준까지의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83번
식물의 타감작용(상호대립억제작용, allelopathy)을 나타내는 물질은?
84번
흑색달팽이 방류시 강피 억제율을 조사하고자 한다. 흑색달팽이 방류시 무처리 강피 발생 172본/m2 에 대한 강피 23본/m2 이 발생되었을 때, 강피 억제율로 가장 적합한 것은?
85번
친환경 잡초 방제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6번
다음 중 다년생 잡초들로만 구성되어 있는 것은?
87번
다음 중 이행형 제초제가 아닌 것은?
88번
일반적으로 작물과 잡초간 경합으로 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시기는?
89번
일년생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90번
잡초 방제법을 물리적, 화학적, 예방적 방제법으로 구분할 때, 다음 중 예방적 방제법이 아닌 것은?
91번
겨울잡초로만 나열 된 것은?
92번
제초제가 작물에는 피해(약해)를 주지 않고 잡초만을 죽일 수 있는 특성은?
93번
잡초종자의 휴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4번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생 원인은?
95번
논에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이유가 아닌 것은?
96번
비선택적으로 식물을 전멸시키는 제초제는?
97번
단자엽식물과 쌍자엽식물 간의 차이처럼 식물의 생장형이 달라서 나타나는 선택성은?
98번
작물이 잡초로부터 받는 피해경로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 피해 경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간접적인 피해 경로에 해당하는 것은?
99번
농경지에서 잡초군락의 천이에 가장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은?
100번
방동사니류 잡초가 아닌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