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기사 (2021년05월15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병든 식물체 조직의 면적 또는 양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식물체의 전체면적당 발병 면적을 기준으로 하는 것은?
2번
식물체에 암종을 형성하며, 유전공학 연구에 많이 쓰이는 식물병원 세균은?
3번
그램음성세균에 해당하는 것은?
4번
균류(菌類)의 영양섭취 방법이 아닌 것은?
5번
식물병에 있어서 표징(표징, sign)이란?
6번
균사나 분생포자의 세포가 비대해져서 생성되는 것은?
7번
중간 기주인 향나무를 제거하면 피해를 경감시킬 수 있는 식물병은?
8번
오이 세균성점무늬병균이 증식하기 가장 적합한 식물체내 부위는?
9번
벼 줄무늬잎마름병의 병원(病原)은?
10번
사과나무 부란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1번
벼 흰잎마름병의 발생과 전파에 가장 좋은 환경조건은?
12번
벼 도열병균의 레이스(race)를 구분할 때 사용하는 판별품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3번
식물바이러스의 분류 기준이 되는 특성이 아닌 것은?
14번
병원균이 기주식물에 침입을 하면 병원균에 저항하는 기주식물의 반응으로 항균 물질 및 페놀성 물질 증가 등의 작용을 하는데, 이를 무엇이라 하는가?
15번
병든 보리, 밀을 먹는 사람과 돼지 등에 심한 중독을 일으키는 병해는?
16번
수목 뿌리에 주로 발생하는 자주날개무늬병이 속하는 진균류는?
17번
다음 식물 병원체 중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18번
벼 오갈병의 주요 매개층은?
19번
배나무 검은별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0번
도열병이 다발하는 조건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부화유충이 처음 과일 표면을 식해하다가 과일 내부로 뚫고 들어가 가해하는 해충은?
22번
곤충의 선천적 행동이 아닌 것은?
23번
유약호르몬이 분비되는 기관은?
24번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번
곤충 날개가 두 쌍인 경우 날개의 부착 위치는?
26번
곤충의 다리는 5마디로 구성된다. 몸통에서부터 순서로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27번
다음 중 충영을 형성하는 해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8번
다음 중 곤충이 페로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9번
다음 중 포도나무 줄기를 가해하는 해충으로만 나열된 것은?
30번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일반적인 특징이 아닌 것은?
31번
우리나라에 비래하지만 월동하지 않는 것은?
32번
고시류(Paleoptera) 곤충에 속하는 것은?
33번
4령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4번
총채벌레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5번
곤충의 탈피와 변태를 조절하는 호르몬 분비에 관여하는 기관이 아닌 것은?
36번
주둥이를 식물체에 찔러 넣어 즙액을 빨아먹는 곤충에 속하지 않는 것은?
37번
곤충이 탈피할 때 새로운 표피로 대체(代替)되지 않는 기관은?
38번
다음 중 곤충이 휴면하는데 가장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은?
39번
분류학적으로 개미가 속하는 곤충목은?
40번
다음 중 호흡계의 기문 수가 가장 적은 곤충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다음 중 산성토양에 가장 강한 것은?
42번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43번
큰 강의 유역은 주기적으로 강이 범람해서 비옥해져 농사짓기에 유리하므로 원시농경의 발상지이었을 것으로 추정한 사람은?
44번
토양의 pH가 낮아질 때 가급도가 가장 감소되기 쉬운 영양분은?
45번
탈질현상을 경감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인 시비법은?
46번
다음 영양성분 중 결핍되면 분열조직에 괴사를 일으키며, 사탕무의 속썩음병을 일으키는 것은?
47번
다음 중 2년생 작물은?
48번
발아에 광선이 필요하지 않는 작물은?
49번
작물이 주로 이용하는 토양 수분은?
50번
질산환원효소의 구성성분이며, 질소대사에 작용하고, 콩과작물 뿌리혹박테리아의 질소고정에 필요한 무기성분은?
51번
작물의 배수성 육종 시 염색체를 배가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것은?
52번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을 분류할 때 땅속 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53번
다음 중 암술과 수술이 서로 다른 개체에서 생기는 것은?
54번
다음 중 작물의 내염성 정도가 가장 큰 것은?
55번
다음 중 굴광현상에 가장 유효한 광은?
56번
다음 중 장명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57번
혼파의 장점이 아닌 것은?
58번
다음 중 내습성이 가장 강한 과수류는?
59번
식물체 내의 수분퍼텐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0번
식물의 일장감응 중 SI형 식물은?
4과목 : 농약학
61번
유기인계 살충제는?
62번
제초제의 일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3번
계면활성제 중 가용화 작용이 큰 HLB(Hydrophile-Lipophile Balance) 값으로 가장 옳은 것은?
64번
90% BPMC 원제 1kg을 2% 분제로 제조하는데 필요한 증량제의 양(kg)은?
65번
농약의 일일섭취허용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66번
50% 벤타존 액제(비중 1.2) 100mL로 0.1% 살포액으로 만드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L)은?
67번
유제(乳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68번
농약의 혼용 시 주의할 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9번
주로 접촉제 및 소화중독제로서 작용하며 벼의 이화명나방에 적용되는 유기인제는?
70번
Fenobucarb 살충제 계통은?
71번
Dialkylamine계 살균제는?
72번
농작물 또는 기타 저장물에 해충이 모이는 것을 막기 위해 쓰이는 기피제(Repellent)로 쓰이는 것은?
73번
농약 안전살포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4번
농약제제화의 목적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번
유기인계 살충제의 작용특성이 아닌 것은?
76번
황산암모니아와 설탕 등과 같은 중량제를 투입한 농약의 제형은?
77번
우리나라의 농약의 독성구분 중 맞지 않는 것은?
78번
농약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친유성기를 갖는 원자단은?
79번
농약의 잔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80번
다음 중 훈증제가 아닌 농약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피의 형태적 특징으로 옳은 것은?
82번
작물이 잡초로부터 받는 피해경로를 직접적 또는 간접적 피해 경로로 구분할 때 다음 중 간접적인 피해 경로에 해당하는 것은?
83번
전체 생육기간이 100일인 작물에서 이론적으로 작물이 잡초 경합에 의해 가장 심하게 피해를 받는 시기는?
84번
논에서 잡초의 군락천이를 유발시키는 데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85번
암(暗)발아성 종자인 잡초는?
86번
제초제의 토양 중 지속성은 반감기(half life)로 나타낸다. 이 때 반감기란? (단, 전 기간을 통하여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1차 반응식을 전제로 함)
87번
잡초에 대한 작물의 경합력을 높이는 방법은?
88번
잡초의 생장형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89번
잡초에 의한 피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90번
쌍자엽 잡초와 단자엽 잡초간 차이로 가장 옳은 것은?
91번
작물과 잡초간의 경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2번
식물체내에서 일어나는 주된 제초제 분해반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93번
방동사니과 잡초가 아닌 것은?
94번
다음 다년생 논잡초 중 영양번식 기관의 발생분포 심도가 표토로부터 가장 깊은 종은?
95번
상호대립억제작용(allelopathy)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6번
잡초가 작물보다 경쟁에서 유리한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97번
가을에 발생하여 월동 후에 결실하는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98번
잡초 종자에 돌기를 갖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것은?
99번
다음 잡초 중 종자의 천립중이 가장 가벼운 것은?
100번
뿌리가 토양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물 위에 떠다니는 부유성 잡초에 해당하는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