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기사 (2021년03월07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박테리오파지의 기주특이성을 이용하여 진단할 수 있는 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번
과수의 자주날개무늬병균은 분류학적을 어느 균류에 속하는가?
3번
호박의 흰가루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어느 부위에 약제를 처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가?
4번
식물병원체가 생산하는 기주 특이적 독소는?
5번
인공 배지에서 배양이 가능한 식물 병원체는?
6번
다음 중 기생성 종자식물이 수목에 미치는 주요 피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번
시설재배에서 발생하는 토양 병해의 방제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번
토마토 풋마름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번
국내에 발생하는 채소류의 균핵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번
종묘 소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1번
병원균의 분생포자각과 자낭각이 보이는 식물병은?
12번
Aspergillus flavus가 생산하는 균독소는?
13번
뽕나무 오갈병의 병원체로 옳은 것은?
14번
사과나무 붉은별무늬병균이 해당하는 분류군은?
15번
일반적으로 세균의 플라스미드에 의해 지배되는 형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6번
식물 바이러스 입자를 구성하는 주요 고분자는?
17번
병원체가 주로 각피를 통해 직접 침입하지 않는 것은?
18번
균류에 의해 발생하는 수목병이 아닌 것은?
19번
사과나무 뿌리혹병의 주요 발생 원인은?
20번
식물병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누에의 휴면호르몬이 합성되는 곳은?
22번
윤작으로 방제 효과가 가장 미비한 해충은?
23번
복숭아심식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번
오이잎벌레는 어느 목에 속하는가?
25번
부패물 또는 토양 속의 유기물에 자라는 미생물을 먹고 사는 곤충은?
26번
배나무이의 분류학적 위치는?
27번
일반적으로 곤충의 가운데 가슴마디에 있는 기문(spiracle) 수는?
28번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29번
정주성 내부기생선충으로 2령 유충만이 식물을 침입할 수 있는 감염기의 선충이 되는 것은?
30번
살충제의 효력을 충분히 발휘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제로 옳지 않은 것은?
31번
다음 중 곤충의 소화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2번
조팝나무진딧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3번
곤충의 출생방식으로 알이 몸 안에서 부화되어 애벌레 상태로 밖으로 나오는 것은?
34번
해충의 발생예찰 방법이 아닌 것은?
35번
작물의 재배시기를 조절하여 해충의 피해를 줄이는 방법은?
36번
고추의 열매를 뚫고 들어가 열매 속에서 식해하는 해충은?
37번
진딧물이 교미 없이 암컷 혼자 번식하는 것은?
38번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것은?
39번
벼를 가해하여 오갈병을 매개하는 것은?
40번
유충에서 성충까지 입틀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포도의 착색에 관여하는 안토시안의 생성을 가장 조장하는 것은?
42번
벼 작물의 도복대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는 것은?
43번
다음 중 생육 기간의 적산온도가 가장 높은 작물은?
44번
다음 중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45번
인산질 비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46번
재배에 적합한 토성의 범위가 넓은 작물의 순서로 가장 바르게 나열된 것은?
47번
작물의 생육과정에서 화성을 유발케 하는 요인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48번
묘상에서 육묘한 모를 이식하기 전에 경화시키면 나타나는 이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49번
다음 중 배유 종자로만 나열된 것은?
50번
종자의 파종량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51번
다음 중 벼의 도열병 저항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52번
내건성이 강한 작물의 행태적 특성이 아닌 것은?
53번
다음 중 작물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3요소로 가장 옳은 것은?
54번
작물의 종류에 따른 시비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55번
다음 중 수명이 가장 긴 장명종지는?
56번
줄기 선단에 분열조직에서 합성되어 아래로 이동하여 측아의 발달로 억제하는 정아우세 현상과 관련된 식물생장조절물질은?
57번
다음 중 침종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58번
다음 중 식물세포 원형질의 팽만 상태에 해당하는 것은?
59번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큰 것은?
60번
다음에서 (가), (나)에 알맞은 내용은?
4과목 : 농약학
61번
식물생장 조정제가 아닌 것은?
62번
분제(입제 포함)의 물리적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3번
농약사용 후에 나타나는 약해의 원인이라고 볼 수 없는 것은?
64번
50%의 fenobucarb 유제(비중 : 1) 100mL를 0.05%액으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L)은?
65번
급성독성 강도의 순서로 옳게 나열된 것은?
66번
경구 중독에 대한 설명과 해독 및 구호조치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7번
미생물 농약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68번
다음 중 작물 잔류성이 가장 낮은 약제는?
69번
농약 원제를 물에 녹이고 동결방지제를 가하여 제제화한 제형은?
70번
다음 중 희석하여 살포하는 제형이 아닌 것은
71번
농약의 작용기작에 의한 분류 중 Parathion이 속하는 분류는?
72번
주성분의 조성에 따른 농약의 분류에서 카바메이트계 농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3번
미탁제나 유탁제 등 신규제형이 각광받지 못한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4번
다음 중 사과의 부란병 방제에 적합한 약제는?
75번
Parathion의 구조식으로 옳은 것은?
76번
살선충제 농약은?
77번
농약의 저항성 발달 정도를 표현하는 저항성 계수를 옳게 나타낸 것은?
78번
Sulfonylyrea계 제초제가 아닌 것은?
79번
유제를 1500배로 희석하여 액량 15L로 살포하려 할 때 필요한 원액약량(mL)은?
80번
농약잔류허용기준의 설정 시 결정요소가 아닌 것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올방개 방제에 가장 효과적인 제초제는?
82번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잡초방제법에서 천적이 갖춰야 할 전제조건이 아닌 것은?
83번
트라이진계 제초제의 주요 이행 특성은?
84번
벼 재배에 주로 사용하지 않는 제초제는?
85번
다음 중 암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잘 되는 잡초 종자는?
86번
생물학적 잡초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7번
땅콩 포장에 문제가 되는 잡초종으로만 나열된 것은?
88번
월년생 밭잡초로만 나열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89번
토양내 제초제의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0번
식물의 광합성 회로 특성에 대한 설명이 옳은 것은?
91번
상호대립억제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2번
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는?
93번
제초제의 상승 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4번
다음 중 화본과 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
95번
잡초의 유용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6번
제초제가 작물에는 피해(약해)를 주지 않고 잡초만을 죽일 수 있는 특성은?
97번
논에 발생하는 1년생 잡초로 가장 옳은 것은?
98번
비선택적으로 식물을 전멸시키는 제초제는?
99번
종자가 바람에 의해 전파되기 쉬운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100번
잡초 군락의 변이 및 천이를 유발하는데 가장 크게 작용하는 요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