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기사 (2017년05월07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보르도액에서 살균효과가 있는 유효성분은?
2번
하우스에 재배하는 채소에서 과습과 저온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은?
3번
바이로이드에 의한 식물병은?
4번
석회를 이용한 토양산도 조절로 pH를 7.0이상으로조절하여 방제하는 병은?
5번
마름무늬매미충에 의해 전반되지 않는 병은?
6번
19세기 중반 아일랜드에 큰 기근으로 인하여 100만명을굶어 죽게 하였던 식물병은?
7번
벼에 발생하는 병원균이 종자전염하는 것은?
8번
파이토플라스마에 의해서 발생하는 병은?
9번
목재 백색썩음병에 관계하는 중요한 효소는?
10번
벼 키다리병균의 불완전세대는?
11번
다음 방제방법에 해당하는 사과의 병은?
12번
감염된 식물체를 가축이 먹으면 해로운 병은?
13번
맥류 줄기녹병의 중간 기주는?
14번
식물에 모자이크 증상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병원체는?
15번
자낭포자로 인한 표징이 잘 나타나지 않는 병은?
16번
벼 흰잎마름병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17번
복숭아 잎오갈병의 병원균은?
18번
형광항체법을 이용하는 식물병 진단방법은?
19번
벼 줄무늬잎마름병을 방제하는 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작은 것은?
20번
잣나무 털녹병의 전염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길앞잡이과가 해당하는 목은?
22번
곤충의 일반적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23번
유충이 육식성으로 수서생활을 하고, 물 밖으로 나와 번데기가 되어 성충으로 몇 시간 또는 며칠만 사는 것은?
24번
애멸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5번
식물의 선천적 내충성과 관계가 없는 것은?
26번
조팝나무진딧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번
곤충의 말피기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8번
생물적 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9번
곤충의 외표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번
해충의 통계적 예찰법을 적용하려 할 때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번
진딧물의 생식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2번
수서곤충으로 성충으로 월동하는 것은?
33번
점박이응애의 천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곤충은?
34번
누에의 휴면호르몬이 합성되는 곳은?
35번
과실에 피해를 주는 해충이 아닌 것은?
36번
완전변태를 하는 곤충은?
37번
메뚜기류의 작은턱수염이 연결된 부위는?
38번
콩과작물의 꼬투리와 과일나무의 열매 등을 흡즙하여 수량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해충은?
39번
벼 줄기 속을 가해하여 새로 나온 잎이나 이삭이 말라 죽도록 가해하는 해충은?
40번
곤충의 번데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무배유 종자에 해당하는 것은?
42번
큰 강의 유역은 주기적으로 강이 범람해서 비옥해져 농사짓기에 유리하므로 원시농경의 발상지이었을 것으로 추정한 사람은?
43번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작은 것은?
44번
다음 중 종자의 수명이 가장 긴 것은?
45번
( )에 알맞은 내용은?
46번
다음 중 굴광현상에서 가장 유효한 파장은?
47번
작물재배 시 담배의 최적온도는?
48번
다음 중 천연 옥신류에 해당하는 것은?
49번
작물을 용도에 따라 분류할 때 약용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50번
나무딸기에서 이용되며 가지의 선단부를 휘어서 묻는 방법은?
51번
작물의 내염성 정도가 강한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52번
산성토양에 가장 약한 작물로만 나열된 것은?
53번
작물을 복토할 경우 복토 깊이가 0.5~1.0cm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54번
( )에 알맞은 내용은?
55번
다음 중 자식성 식물로만 나열된 것은?
56번
재배포장에서 파종된 종자의 발아상태를 조사할 때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을 무엇이라 하는가?
57번
종묘로 이용되는 영양기관을 분류할 때 땅속 줄기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58번
수광태세가 좋아지는 벼의 초형으로 틀린 것은?
59번
배낭을 만들지 않고 포자체의 조직세포가 직접 배를 형성하는 것은?
60번
다음 중 작물의 교잡률이 0.0 ~ 0.15%에 해당하는 것은?
4과목 : 농약학
61번
농약의 안전사용기준을 설정하는 주된 목적은?
62번
다음 중 보호 살균제의 농약은?
63번
농약의 구비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4번
피페로닐 부톡사이드(Piperonyl butoxide)는?
65번
포인세티아에 대하여 식물호르몬인 지베레린의 작용을 저해하여 식물의 신장억제 작용을 하는 약제는?
66번
농약의 주성분에 의한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7번
메프유제 50%를 0.05%.로 희석하여 10a당 100L를 살포하려고 할때 소요약량은 약 몇 mL 인가? (단, 비중은 1.008 이다.)
68번
다음 중 농약의 보조제(supplement agent)에 해당하는 것은?
69번
석회유황합제(石灰硫黃合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0번
Cyclodiene계로서 2개의 이성질체가 있으며 접촉독 및 식독작용에 의하여 살충효과가 있는 약제는?
71번
유기인계 살균제로서 도열병에 대한 효과가 가장 큰 농약은?
72번
분제의 물리적 성질에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73번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의 특성에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4번
농약조제용 증량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75번
다음 농약의 약해증상 중 만성적 약해에 해당하는 것은?
76번
과거 어느 살충제보다 살충력이 강하고, 적용범위가 넓으며 저렴한 값에 대량생산의 장점이 있으나 잔류독성의 문제를 일으킬 위험요인이 가장 큰 계통의 농약은?
77번
농약의 제형에 의한 분류에 있어서 희석살포제인 제형에 해당되는 것은?
78번
다음 중 작물 잔류성이 가장 낮은 악제는?
79번
50% 의 페뉴뷰카브유제(비중:1) 100mL를 0.05% 액으로 희석하는데 소요되는 물의 양은 약 몇 L 인가?
80번
물에 녹지 않은 원제를 벤토나이트 고령토점토광물의 증량제와 혼합하고, 여기에 친수성ㆍ습전성 및 고착성 등을 부가시키기 위하여 적당한 계면활성제를 가하여 미분말화시킨 농약의 제형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논에서 다년생 잡초가 증가하는 요인으로 거리가 먼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82번
벼와 광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
83번
벼 잡초인 피 방제를 위한 프로파닐 제초제의 선택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4번
토양내 제초제의 흡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5번
기생성, 식해성 및 병원성을 지닌 곤충 등을 이용하여 잡초의 발생밀도를 감소시키는 방법은?
86번
일년생 잡초로만 올바르게 나열된 것은?
87번
논에서 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는?
88번
단자엽 잡초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89번
잡초가 제초제를 흡수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0번
주로 콩과 작물 및 목본식물에 기생하여 수분이나 양분 등을 탈취하는 잡초는?
91번
생태적 방제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92번
잡초발생이 많은 포장에 서로 다른 제초제를 사용하고 시기를 달리하여 2번 이상 살포하는 방법은?
93번
월년생 잡초가 주로 발아하는 시기는?
94번
잡초는 경우에 따라 유용하게 이용되기도 한다. 수질 오염원의 제거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잡초는?
95번
제초제 제형 중 수화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6번
일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생 후 일정한 기간이 되면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논잡초는?
97번
광발아 잡초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98번
벼 재배에서 잡초와의 경합력이 가장 큰 재배법은?
99번
잡초 종자의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00번
작물과 잡초의 경합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