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2022년03월05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소나무 잎마름병의 병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번
다음 중 균류의 영양기관은?
3번
식물병 발생에 필요한 3대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4번
다음 중 사과 겹무늬썩음병의 병원균은?
5번
다음 중 오이류 덩굴쪼김병의 방제 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낮은 것은?
6번
병원균이 불완전세대로 Pyricularia grisea(P. oryzae)인 식물병은?
7번
자주날개무늬병이 속하는 진균류는?
8번
다음 중 유주자낭을 형성하는 병원균은?
9번
배나무 붉은별무늬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0번
자낭균이며 표징이 잘 나타나지 않는 것은?
11번
다음 중 매개충에 의해 경란 전염하는 바이러스는?
12번
감자 역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3번
식물병원균에 대한 길항균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4번
다음 중 크기가 가장 작은 것은?
15번
푸사리움균(Fusarium)에서 알려졌으며, 하나의 세포 내에 유전적으로 다른 2개 이상의 반수체핵이 존재하는 현상은?
16번
감염된 식물체 중 가축이 먹으면 가장 해로운 병은?
17번
밤나무 줄기마름병의 병반 부위의 전형적인 병징은?
18번
노지에서 고추 역병이 가장 잘 발병하는 요인은?
19번
식물병 진단방법 중 형광항체법을 이용하는 것은?
20번
다음 중 진딧물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염되어 발생하는 병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곤충의 생식 기관이 아닌 것은?
22번
거미와 비교한 곤충의 특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3번
사과굴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4번
담배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5번
벼의 해충 중 흡즙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외에도 줄무늬잎마름병과 검은줄오갈병의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간접적인 피해를 주는 해충은?
26번
점박이응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7번
다음 중 가해하는 기주가 가장 다양한 해충은?
28번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여 곤충이 행동하는 유형이 아닌 것은?
29번
복관(collophore)을 갖고 있는 곤충은?
30번
식도하신경절에 의해 운동신경과 감각신경의 지배를 받지 않는 기관은?
31번
곤충의 생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32번
간모를 통해 단위생식을 하는 것은?
33번
곤충의 전형적인 더듬이의 주요부분 중 존스턴기관을 가지고 있는 것은?
34번
마늘에 피해를 주는 고자리파리의 방제방법으로 가장 효과가 적은 것은?
35번
외시류 곤충의 겹눈을 구성하는 낱눈의 수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36번
파리의 날개는 몸의 어느 부위에 부착되어 있는가?
37번
곤충의 배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번
아성충 단계가 있고, 유충은 기관아가미로 호흡하는 곤충류는?
39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살충제는?

40번
근육 부착을 위한 머리내 골격 구조를 무엇이라 하는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다음 중 굴광현상에 가장 유효한 광은?
42번
다음 중 작물의 주요온도에서 생육이 가능한 범위 내 최고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43번
다음 중 작물의 복토깊이가 가장 깊은 것은?
44번
작물 체내에서 전류이동이 잘 이루어져 결핍될 경우 결핍증상이 오래된 잎에 먼저 나타나는 다량원소는?
45번
재배포장에서 파종된 종자의 발아상태를 조사할 때 “발아한 것이 처음 나타난 날”을 무엇이라 하는가?
46번
맥류의 도복을 적게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47번
다음 중 직근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48번
벼에서 염해가 우려되는 최소 농도는?
49번
( ) 에 알맞은 내용은?

50번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적은 작물은?
51번
작물의 내염성 정도가 강한 것으로만 나열된 것은?
52번
군락의 수광태세가 좋아지고 밀식적응성이 높은 콩의 초형으로 틀린 것은?
53번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54번
다음 중 휴작기간이 가장 긴 작물은?
55번
다음 중 작물의 교잡률이 0.0~0.15%에 해당하는 것은?
56번
다음 중 작물재배 시 부족하면 수정·결실이 나빠지는 미량원소는?
57번
질산 환원 효소의 구성 성분으로 콩과작물의 질소고정에 필요한 무기성분은?
58번
화곡류에서 규질화를 이루어 병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고, 잎을 꼿꼿하게 세워 수광태세를 좋게 하는 것은?
59번
국화의 주년재배와 가장 관계가 있는 것은?
60번
재배의 기원지가 중앙아시아에 해당하는 것은?
4과목 : 농약학
61번
유제의 유화성, 수화제의 현수성을 검정하는데 사용하는 물의 경도는?
62번
농약관리법상 새로운 농약을 제조업자가 국내에서 제조하여 국내에서 판매하기 위해 등록한 품목등록의 유효기간은?
63번
교차저항성(Cross resistanc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64번
환경 친화적인 제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65번
강력한 접촉형 비선택성 제초제로서 비농경지의 논두렁 및 과수원에서 작물을 파종하기 전 잡초를 방제하는데 이용되었으나, 독성 등으로 인해 품목등록이 제한된 원제는?
66번
병의 예방을 목적으로 병원균이 식물체에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약효시간이 긴 특징을 갖고 있는 약제는?
67번
Isoprothiolane 유제(50%, 비중 1.05) 100mL로 0.05% 살포액을 조제하는데 필요한 물의 양(L)은?
68번
DDVP 유제 50%를 500배로 희석하여 면적 10a당 72L를 살포하고자 할 때 소요약량(mL)은?
69번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Regulator; PG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0번
분제의 제제에 있어 고려되어야 할 물리적 성질로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1번
훈증제(Gas; GA)와 가장 관련이 없는 것은?
72번
제형의 목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73번
유기인계 농약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틀린 것은?
74번
피레스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75번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상 농산물에 잔류한 농약에 대하여 별도로 잔류허용기준을 정하지 않는 경우 적용하는 기준(mg/kg 이하)은?
76번
농약 살포법 중 유기분사방식으로 살포액의 입자크기를 35~100μm 로 작게하여 살포의 균일성을 향상시킨 살포법은?
77번
선택적 침투이행 특성이 있는 제초제로 아래와 같은 분자구조를 공통적으로 갖는 계통은?

78번
Carbamate 계 살충제가 아닌 것은?
79번
유기인계 살충제와 강알칼리성 약제의 혼용을 피하는 가장 큰 이유는?
80번
농약관리법령상 농약 등의 안전사용기준에서 제한하는 항목이 아닌 것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잡초의 생장형에 따른 분류로 옳은 것은?
82번
잡초의 생물학적 방제용으로 도입되는 곤충이 구비하여야 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3번
다음 중 잡초방제 한계기간이 가장 짧은 작물은?
84번
방동사니과 잡초가 아닌 것은?
85번
요소(urea)계 제초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86번
작물의 수량 감소가 가장 클 것으로 예상되는 조합은?
87번
다음 중 트리아진계 제초제의 주요 이행 특성은?
88번
일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고 발생 후 일정한 기간이 되면 지하경을 형성하는 다년생 논잡초는?
89번
벼와 피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0번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91번
다음 중 잡초의 종별 수량이 가장 적은 것은?
92번
잡초 종자에 돌기를 갖고 있어 사람이나 동물에 부착하여 운반되기 쉬운 것은?
93번
다음 중 쌍자엽 잡초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4번
잡초가 제초제를 흡수하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95번
논에 주로 발생하는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96번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97번
주로 종자로 번식하는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98번
다음 중 외국에서 유입된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99번
다음 중 이행형 제초제가 아닌 것은?
100번
다음 중 월년생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연도별
- 2022년04월24일
- 2022년03월05일
- 2021년09월12일
- 2021년05월15일
- 2021년03월07일
- 2020년09월26일
- 2020년08월22일
- 2020년06월06일
- 2019년09월21일
- 2019년04월27일
- 2019년03월03일
- 2018년09월15일
- 2018년04월28일
- 2018년03월04일
- 2017년09월23일
- 2017년05월07일
- 2017년03월05일
- 2016년10월01일
- 2016년05월08일
- 2016년03월06일
- 2015년09월19일
- 2015년05월31일
- 2015년03월08일
- 2014년09월20일
- 2014년05월25일
- 2014년03월02일
- 2013년09월28일
- 2013년06월02일
- 2013년03월10일
- 2012년09월15일
- 2012년05월20일
- 2012년03월04일
- 2011년10월02일
- 2011년06월12일
- 2010년09월05일
- 2010년03월07일
- 2009년08월30일
- 2009년05월10일
- 2009년03월01일
- 2008년09월07일
- 2008년05월11일
- 2008년03월02일
- 2007년09월02일
- 2007년05월13일
- 2007년03월04일
- 2006년09월10일
- 2006년05월14일
- 2006년03월05일
- 2005년09월04일
- 2005년05월29일
- 2005년03월06일
- 2004년09월05일
- 2004년05월23일
- 2004년03월07일
- 2003년08월31일
- 2003년05월25일
- 2003년03월1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