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기사 (2022년04월24일 기출문제)

1과목 : 식물병리학
1번
기주 식물이 병원균의 침입에 자극을 받아 방어를 목적으로 생성하는 물질은?
2번
병원균의 침입방법으로 주로 수공감염 하는 작물의 병은?
3번
배나무붉은별무늬병균의 중간 기주는?
4번
병원균이 기생체 침입 시 균사가 밀집해서 감염욕을 만들어 침입하는 것은?
5번
생물적 방제방법의 가장 큰 장점은?
6번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구성 성분 중 병원성을 갖는 것은?
7번
도열병균의 특정 레이스를 어떤 벼 품종에 접종하였더니 병반 형성이 전혀 없거나 과민성 반응이 나타났다면 이 품종의 저항성으로 옳은 것은?
8번
포도나무 노균병균이 월동하는 곳은?
9번
향나무에 감염된 배나무붉은별무늬병균의 포자 이름은?
10번
식물병원 바이러스와 바이로이드의 차이점은?
11번
저장 곡물에 Aflatoxin 이라는 독소를 생성하는 균은?
12번
토양전반에 의해 발생하는 토양전염병은?
13번
담자균류에 의한 깜부기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4번
진균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번
식물 바이러스병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번
식물 검역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7번
수박덩굴쪼김병균이 월동하는 곳은?
18번
벼 오갈병을 매개하는 곤충은?
19번
사과겹무늬썩음병을 일으키는 병원체는?
20번
감자둘레썩음병균이 월동하는 곳은?
2과목 : 농림해충학
21번
톱밥같은 배설물을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수피 속의 갱도에 쌓아 놓아 피해를 발견하기가 어려운 해충은?
22번
다음 중 호흡계의 기문 수가 가장 적은 곤충은?
23번
내배엽에서 만들어진 곤충의 소화기관은?
24번
감자나방의 피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25번
진딧물의 생식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6번
온실 재배 토마토에 바이러스병을 매개하는 해충으로 가장 피해를 많이 주는 것은?
27번
누에의 휴면호르몬이 합성되는 곳은?
28번
다음 중 완전변태를 하지 않는 것은?
29번
배추좀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0번
다음 중 유시류에 속하는 것은?
31번
솔나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2번
다음 중 성충이 과실을 직접 가해하는 해충은?
33번
미각과 관계가 없는 곤충의 기관은?
34번
벼 줄기 속을 가해하여 새로 나온 잎이나 이삭이 말라 죽도록 가해하는 해충은?
35번
다음 중 유충에서 성충까지 입틀의 형태가 변하지 않는 것은?
36번
다음 중 곤충 표피의 가장 바깥쪽에 있는 것은?
37번
총채벌레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8번
한여름 휴한기에 비닐하우스를 밀폐하고 토양온도를 높인 땅속 해충 방제법은?
39번
분류학적으로 개미가 속하는 곤충목은?
40번
다음 중 유약호르몬이 분비되는 기관은?
3과목 : 재배학원론
41번
다음 중 휴작의 필요 기간이 가장 긴 작물은?
42번
다음 중 자연교잡률이 가장 낮은 것은?
43번
답압을 진행하면 안 되는 경우는?
44번
식물체에서 기관의 탈락을 촉진하는 식물생장 조절제는?
45번
화성유도 시 저온ㆍ장일이 필요한 식물의 저온이나 장일을 대신하는 가장 효과적인 식물호르몬은?
46번
눈이 트려고 할 때 필요하지 않는 눈을 손끝으로 따주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47번
작물의 내동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48번
다음 중 중일성 식물은?
49번
풍해를 받았을 경우 작물체에 나타나는 생리적 장해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50번
다음 중 작물의 적산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51번
다음 중 수종에서 발아가 가장 어려운 작물은?
52번
녹체춘화형 식물로만 나열된 것은?
53번
다음 중 작물의 복토 깊이가 가장 깊은 것은?
54번
다음 중 CO2 보상점이 가장 낮은 식물은?
55번
다음 중 뿌림골을 만들고 그곳에 줄지어 종자를 뿌리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56번
벼의 침관수 피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조건은?
57번
다음 중 동상해 대책으로 틀린 것은?
58번
다음 중 식물학상 과실로 과실이 나출된 식물은?
59번
다음 중 땅속줄기로 번식하는 작물은?
60번
다음 중 인과류로만 나열되어 있는 것은?
4과목 : 농약학
61번
Fenthion 30% 유제를 500배로 희석해서 10a당 144L를 살포하여 해충을 방제하고자 할 때 Fenthion 30% 유제의 소요량(mL)은?
62번
소나무에서 발생하는 솔나방을 방제하는데 주로 사용할 수 있는 유기인제 약제는?
63번
살초작용에 따른 제초제의 구분에서 식물체의 뿌리로부터 위쪽으로만 약 성분이 전달되는 제초제는?
64번
전착제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65번
과실의 착색ㆍ숙기촉진을 위하여 주로 사용되는 약제는?
66번
Kasugamycin 및 Streptomycin과 같은 살균제의 작용기작은?
67번
농약관리법령상 농약의 방제 대상이 아닌 것은?
68번
식물생장조절제(Plant Growth Tegulator; PGR)로 사용되지 않은 농약은?
69번
저장 곡류(穀類)에 주로 사용되는 훈증제(fumigant)는?
70번
침투성 제초제로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갖는 성분은?
71번
농약 등록을 위한 농약안전성 평가 항목 중 환경생물독성에 해당되는 것은?
72번
비침투성 살균제인 Mancoze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3번
Pyrethrin 살충제의 주요 살충기작은?
74번
약해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75번
Captan(Orthocide)의 구조식은?
76번
벼재배용 농약의 사용량을 고려한 어독성 구분을 위한 아래 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77번
농약관리법령상 고독성 농약에 해당하는 농약의 급성 경구독성(LF50)은? (단, 농약은 고체이며, 단위는 mg/kg 체중이다.)
78번
농약 보조제가 아닌 것은?
79번
농약관리법령상 대립제(GC)의 검사항목은?
80번
다음 중 입자(粒子)의 크기가 가장 큰 제형은?
5과목 : 잡초방제학
81번
다음 중 벼와 광경합이 가장 크게 일어나는 잡초는?
82번
다음 중 사초과 잡초가 아닌 것은?
83번
상호대립억제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4번
잡초 종자의 산포 방법으로 틀린 것은?
85번
2년생 잡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6번
잡초의 유용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87번
다음 중 지하경으로 번식이 가능한 잡초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88번
발아의 계절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89번
방동사니과 잡초가 아닌 것은?
90번
다음 중 잡초의 초형이 가장 작은 것은?
91번
밭 잡초로만 나열되지 않은 것은?
92번
벼와 피를 구분할 때 주요한 행태적 차이점은?
93번
잡초의 밀도가 증가되면 작물의 수량이 감소한다. 이에 따라 어느 밀도 이상으로 잡초가 존재하면 작물의 수량이 현저히 감소되는 수준까지의 밀도를 무엇이라 하는가?
94번
잡초의 생육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95번
다음 중 잔디밭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잡초로만 나열된 것은?
96번
잡포의 생장형에 따른 분류로 틀린 것은?
97번
다음 중 포자로 번식하는 것은?
98번
잡초 종자가 휴면하는 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99번
잡초 종자의 모양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100번
다음 중 발아 적온이 가장 높은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