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안전기사

2021년05월15일 50번

[기계위험방지기술] 연삭숫돌의 파괴원인으로 거리가 가장 먼 것은?

  • ① 숫돌이 외부의 큰 충격을 받았을 때
  • ②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를 때
  • ③ 숫돌 자체에 이미 균열이 있을 때
  • ④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때
(정답률: 92.66%)

문제 해설

네, 맞습니다. 정답은 **4번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때**입니다.

**연삭숫돌의 파괴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숫돌이 외부의 큰 충격을 받았을 때
*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를 때
* 숫돌 자체에 이미 균열이 있을 때
* 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 숫돌의 냉각이 불량할 때
* 숫돌의 품질이 불량할 때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때**는 연삭숫돌의 파괴원인 중 하나이지만, 다른 원인에 비해 거리가 가장 먼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플랜지**는 연삭숫돌의 가장자리에 부착된 둥근 링 모양의 구조물입니다. 플랜지의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경우, 플랜지가 숫돌의 회전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숫돌이 파괴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연삭숫돌은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2 이하로 설계되므로,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인 경우는 매우 드뭅니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4번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때**입니다.

**정확한 해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삭숫돌의 파괴원인**
* 숫돌이 외부의 큰 충격을 받았을 때
* 숫돌의 회전속도가 너무 빠를 때
* 숫돌 자체에 이미 균열이 있을 때
* 숫돌의 측면을 사용하여 작업할 때
* 숫돌의 냉각이 불량할 때
* 숫돌의 품질이 불량할 때

>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때**
* 플랜지가 숫돌의 회전력을 지지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숫돌이 파괴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연삭숫돌은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2 이하로 설계되므로,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인 경우는 매우 드뭅음

> **이 문제의 경우**
* 연삭숫돌의 파괴원인 중에서 거리가 가장 먼 원인은
* **4번 플랜지 직경이 숫돌 직경의 1/3 이상일 때**임
AppStore에서 다운로드 APK 다운로드

연도별